흑백 서로 단수되는 모양 '패'
한쪽이 따면 상대 곧바로 못 둬

필자가 예닐곱 살에 동네 형과 처음 바둑을 두었을 때였다. 어른들의 흉내를 내기 좋아했던 나이였다. 바둑의 규칙도 거의 모르고 단지 바둑돌을 바둑판에 내려놓는 행위가 '바둑을 둔다'라고 할 수 없을지 모르나 우리는 바둑을 두었다. 활로를 포위하면 따낸다는 것만 알고 서로 상대의 돌을 잡으러 다녔다. 그러다 상대가 단수된 내 돌을 한 점 따냈다. 그러나 따낸 모양은 상대의 돌 역시 단수가 되는 돌이었다. 나는 즉시 돌을 따냈다. 내 돌 하나를 잡고 득의만만하게 이겼다는 표정이었던 형은 "어? 어!" 라며 시무룩해졌다. 그 형은 잠시 고민하더니 내 돌을 돌려주며 "또 여기 두면 반칙이다"라고 말했다. 왜 반칙인지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형이라는 지위로 억지를 부리는 것 같았다. 형은 나이로, 힘으로 규칙을 바꿀 수 있었고 나는 그럴 권한이 없었다. 나는 그곳에 두지 않고 다른 곳에 두었다.

그러다 반대의 경우가 또 나왔다. 내가 돌 몇 개를 따내자 형은 즉시 내 돌 하나를 따냈다. 나는 "반칙"이라고 소리쳤다. 하지만 형은 반칙이 아니라고 우겼다. 그렇게 실랑이를 하다 나의 기권으로 바둑을 끝냈다. 그러곤 더 이상 그 형과 바둑을 두지 않고 일타이득의 내 알까기 실력으로 복수해주었다.

여러분들은 위의 이야기에서 누가 잘못했는지 아시겠는가. 후에 이 규칙을 이해하고서 나의 잘못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그 형은 '패'라는 말은 몰랐지만 규칙은 적확하게 알고 있었던 것이다. 바둑에는 돌을 따내고 바로 돌을 따낼 수 없는 묘한 규칙이 있다. 이것을 '패'라고 하는데 순수한 우리말로 한자로는 '覇'로 표현하지만 이는 잘못된 표현이다. 오히려 예전 문헌에는 '覇'가 아니라 무한한 시간을 뜻하는 '겁(劫)'으로 사용했다고 한다.

▲ 그림1
▲ 그림1

그림1을 보자. 단수된 백을 흑이 A에 두어 따낸다면 백의 차례에서 A의 흑돌을 따낼 수 있다고 한다면 흑 차례에서 또 백돌을 따내게 된다. 그러면 이러한 모양에서 서로 따내는 것을 양보하지 않으면 무한으로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승부를 가릴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모양을 '패'라고 한다. 그래서 만든 규칙이 '패'가 나오면 곧바로 따낼 수 없고 한 차례 지난 후에야 따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는 동형반복(같은 모양을 반복해서 두는 것)을 금지한 규칙인데 장기에서 제자리를 왔다 갔다 하며 장군을 부르는 것을 금지한 것과 유사하다.

▲ 그림2-1
▲ 그림2-1
▲ 그림2-2
▲ 그림2-2

하지만 이와 달리 즉시 따낼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위의 이야기에서 내가 돌을 몇 개 따내자 바로 내 돌 하나를 따낸 경우이다. 흑이 A에 두어 백돌을 따내고(그림2-1) 백이 다시 흑을 따내어도 활로(▲)가 남아있는 경우(그림2-2)이다. 이것은 패가 아니기 때문에 백이 이렇게 흑돌 하나를 따내더라도 반칙이 아닌 것이다.

여러분들은 이렇게 패의 규칙을 알았으니 바둑을 둘 때 어린 시절의 나처럼 바둑 배우기를 포기하고 알까기로 전향하지 않으리라.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