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온라인 공론장을 위한 연속토론회

뉴미디어 시대 포털과 언론의 역할을 모색하는 '올바른 온라인 공론장을 위한 연속토론회 2탄'이 지난 27일 오후 2시 30분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렸다. 전국언론노동조합과 한국언론정부학회가 공동 주최한 이날 토론회 주제는 '플랫폼 다양화에 따른 언론의 대응과 발전 방향'이었다.

송경재 경희대 인류사회재건연구원 교수가 '포털의 뉴스 큐레이션(선택·배치) 이대로 좋은가', 민변 언론위원회 위원인 김정욱 변호사(겸 변리사)가 '플랫폼 다양화에 따른 미디어 생산자와 유통자의 상생 대안'이란 주제로 각각 발표했다.

첫 발제자인 송 교수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포털운영사의 뉴스 큐레이션 문제를 짚었다. 지난 12일 네이버는 한국프레스센터에서 '2019 미디어 커넥트 데이'를 열고 언론사 구독 기반 뉴스통합관리시스템과 광고 수익 언론사 배분 모델 등 새로운 뉴스 구독 시스템을 발표했다. 당시 네이버 측은 "그간 자체 편집 영역을 꾸준히 없애고, 뉴스콘텐츠 전달 과정에서 개입을 줄이려 노력해왔다"고 밝혔다.

하지만, 송 교수는 "네이버는 에어스(AiRS, AI Recommender System)라는 인공지능 기반 뉴스 검색편집을 2017년 도입해 올 4월 모바일을 중심으로 전면 확대했고, 다음을 운영하는 카카오 역시 2015년부터 자체 개발한 루빅스(RUBICS) 시스템을 적용해 인공지능 편집을 늘리고 있다"며 "네이버 등 포털 사는 편집 편파성 문제에서 벗어나고 객관적인 기준으로 뉴스를 서비스하겠다는 의도라고 밝히는데, 그럼 인공지능은 문제가 없을까?"라는 의문을 나타냈다.

언론종사자 최대 조직인 언론노조는 네이버의 현재 뉴스 유통 상황을 두고 "네이버가 모바일 뉴스서비스를 개편하면서 지역언론을 배제한 지 10개월이 됐다. 네이버는 시민사회의 비판이 이어지자 마지못해 몇몇 언론사들과 개별 협상으로 이를 면피하려 한다"며 "지난 12일 '2019 미디어 커넥트 데이' 행사에서 네이버가 발표한 언론사 구독 시스템 개편안도 시민사회나 언론 종사자와 충분한 협의를 거치지 않은 일방적 결과물로 또 다른 논란이 우려된다"고 비판했다.

송 교수는 "인공지능 뉴스 편집이 모든 문제를 해결하기보다는 하나의 실마리를 제공했다고 봐야 한다. 저널리즘 가치에 기반을 두고 AI와 전문적인 사람의 편집이 상호 보완적인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끝으로 "AI의 포털 뉴스 (편집) 활용은 악플 필터링 등에서 활용도가 높고 페이스북도 가짜뉴스 체크에 활용한다. 인공지능이 뉴스서비스에 적용했을 때 검증 가능하고 신뢰할 만한 것인지에 대한 고민은 가칭 '포털뉴스 투명서 보고서'를 해마다 발간하는 등의 신뢰성 강화 방법을 써서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두 번째 발제를 한 김정욱 변호사는 유럽 각 나라의 구글세 도입 배경을 설명하며 우리나라 포털의 뉴스 서비스가 낳은 문제들과는 그 정도나 형태가 상당히 다르다고 지적했다. 김 변호사는 "국내 포털의 제휴언론사 뉴스 노출 형태인 인 링크(In Link) 방식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구글의 것과는 전혀 다른 결과가 발생한다"며 "우선 각 언론사 온라인 사이트에서 게시된 광고가 뉴스 소비자에게 직접 표출되는 일이 없어진다. 언론사의 전통적인 수익 구조인 구독료와 광고 수익 중 광고수익이 떨어지는 효과가 생긴다"고 말했다. 이어 "댓글 달기·추천행위 등 더 적극적인 소비가 이뤄지는데, 뉴스소비자는 각 포털에서만 이런 적극적 소비행위를 해 언론사는 이런 적극적 소비행위를 하는 소비자와 연결되지 않는다. 즉 유럽 각 언론사의 구글에 대한 입장과 달리 국내 각 언론사는 외부 트래픽 감소 이상의 구조적인 문제점을 떠안고 있다"고 짚었다.

이런 문제점을 짚은 김 변호사는 "키워드 검색 방식의 뉴스 기사는 어뷰징을 위한 기사가 우선순위로 검색이 되며(양적 검색), 그 기사가 원천 기사인지 얼마나 정치하게 잘 작성됐는지(질적 검색)는 중요하지 않다"며 "뉴스 기사의 질적 향상을 위해선 더욱이 지식재산권에 대한 재산적 개념과 이용료 지급 정당성에 대해 인식을 개선하는 게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이날 토론자로 나선 언론 종사자와 시민단체는 "포털은 대형마트처럼 장사하는 곳이라 소비자에게 균형 잡힌 소비 유도보다는 미끼 상품 등으로 대량 구매를 유도한다. 저널리즘과 거리가 있는 유통기업에 뉴스 유통을 맡기는 것 자체가 문제"라며 포털을 넘어선 대안적 뉴스 유통 구조 변화 필요성도 지적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