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임지고 챙기는 이 없어 난맥상 봉착
부실 사업들에서 봤던 미봉책 탈피를

최근 '총체적 부실', '총체적 난맥상'이라는 단어를 자주 듣게 된다. 경남마산로봇랜드(이하 로봇랜드) 사업에 따라 붙는 수식어다.

지난 9월 7일, 로봇랜드 공공부문(2660억 원)인 전시체험장·R&D센터·컨벤션센터와 로봇을 주제로 한 테마파크(민간자본 1000억 원) 시설 등 1단계 사업이 준공했다.

하지만 특수목적법인(PFV) 마산로봇랜드㈜가 펜션 터를 팔아 대주단에 1차 50억 원을 갚아야 하는데 행정이 제때 펜션 터를 넘겨주지 않아 채무 불이행 사태가 생겼다며 실시협약 해지를 요구했다. 이 탓에 민자 3340억 원을 들여 호텔(160실)·콘도(242실)·펜션(104실) 등을 짓는 2단계 사업이 무산 위기에 놓였다.

설상가상 두 달 동안 로봇테마파크 입장객은 10만 명가량으로 예상인원 3분의 1 수준에 그쳤다. 회의·전시를 위해 지은 로봇랜드 컨벤션센터도 수요자로부터 외면 받고 있다. 로봇R&D센터 또한 26개사 유치 목표를 세웠지만 아직 목표에 턱없이 모자라 알맹이 빠진 로봇랜드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처럼 총체적인 난맥상이 드러난 데는 책임지고 사업을 챙긴 곳이 없었기 때문이다. 경남로봇랜드재단(이하 재단)은 경남도와 창원시 눈치만 보고, 경남도와 창원시는 재단에 미루기에만 급급했기 때문이다. 제대로 된 감시감독이 없었던 점은 최근 재단 임직원 이중급여 혐의에서도 드러난다. 원장을 비롯한 3명 임직원은 민간위탁회사들의 자산관리사로부터 이중급여를 받은 혐의(업무상 배임)로 검찰에 기소의견으로 송치됐다. 재판 결과를 지켜봐야겠지만 업무는 뒷전이고 제 주머니 챙기기가 우선이었다는 의구심을 지울 수 없다.

사실 로봇랜드는 첫 단추부터 잘못 채워져 쉽지 않은 사업이라는 지적이 많았다. 우여곡절 속에 로봇랜드를 계획대로 개장하고 제 궤도에 올리는 일이 쉽지 않다보니 해당 단체장과 담당 공무원은 근본적인 해법을 찾기보다는 자신의 임기 동안 폭탄만 안 터지면 된다는 식으로 미봉책으로 일관해왔다.

결국 사업이 이 지경이 됐지만 책임지는 사람도 없다. 부실한 사업들에서 항상 봐 왔던 형식이 완결되는 모습이다.

경남도와 재단은 문제해결을 위해 민간사업자와 협상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2단계 사업을 추진하는 데만 집중하는 모습이다. 그렇다면 어떤 결과가 나오든 회의적이다.

사실 로봇랜드는 이대로는 가망 없어 보인다. R&D 중심 로봇산업, 컨벤션·전시회 등 마이스(MICE) 산업, 테마파크 활성화를 통한 체류형 관광이 시너지를 내지 못한다면 밑 빠진 독에 물붓기와 다름없다. 아무 계획 없이 2단계 사업을 진행한다면 인근에서 숙박시설 600실 규모로 추진 중인 구산해양관광단지와 과잉경쟁으로 상호 몰락의 길을 갈 수밖에 없다.

문제의 근원은 덮어둔 채 시간만 미루는 것은 해결책이 아니다. 과감한 판단이 필요하다. 새로 사업을 시작하는 수준의 새판 짜기가 필요하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