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연대 "보훈처 결과 실망…북한정부 수립 무관 자료 찾겠다"

마산 출신 여성독립운동가 김명시(1907∼1949) 장군의 독립유공자 공적 재심사가 신청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1월 열린사회희망연대(이하 희망연대)는 김명시 장군 독립유공자 포상을 국가보훈처에 신청했지만, 지난 15일 포상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는 공문을 받았다. 희망연대는 보훈처에서 밝힌 포상 탈락 이유에 대해 반박하며 공적 재심사를 신청하겠다는 입장문을 18일 발표했다.

희망연대는 "지난 15일 보훈처로부터 공적 심사 결과 안내 공문을 받고 실망감을 감출 수 없었다. '사망경위 등 광복 후 행적 불분명'이라는 이유로 포상 대상에 포함되지 못했다는 통보였다"고 밝혔다.

이어 "김명시 장군의 해방 이후 활동은 당시 신문 기사나 관련 서적 등 자료가 있다. 다만, 사망 전 2년간 행적을 찾아내는 것은 민간단체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보훈처에서 자료 발굴을 위해 얼마나 노력했는지, 의지가 있었는지 이 공적심사 결과 안내문만으로는 알 수가 없다"고 덧붙였다.

보훈처에 확인 전화를 한 김영만 희망연대 고문은 김명시 장군의 '북로당 중앙위원' 직책이 서훈 불가 판정 이유가 된 것으로 추측했다. 김명시 장군은 사회주의계열의 독립운동을 벌였다는 이유로 독립유공자 서훈 대상에서 제외돼왔다.

김 고문은 "1949년 10월 10일 김명시 장군 사망 당시 경찰은 장군 직책을 '북로당 중앙위원'이라고 발표했는데, 이는 경찰이 추정하는 혐의인지 사실이었는지 아직 확인된 바가 없다. 김명시 장군은 사회주의계열 독립운동가지만 통일정부 수립을 위해 활동했다"고 설명했다.

김 고문에 따르면, 북한에서 정부 수립 공훈이 인정되는 사람을 모시는 '애국열사릉'이라는 국립묘지가 있는데 이곳에 안치된 224명 명단에는 남쪽에서 활동하다 생을 마감한 독립운동가가 여럿이 있지만 김명시 장군의 이름은 없다.

희망연대는 "김명시 장군에 대한 북한의 평가를 볼 때, 그가 북로당 중앙위원이라는 직책이 사실이었다고 해도 그것만으로 북한정부 수립에 이바지했다고 인정할 만한 이유가 되지 못한다"며 보훈처에 재심사를 요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 고문은 "보훈처에 문의했더니 보완 자료가 확인되면 재심사를 진행할 수 있다는 답변을 들었다. 김명시 장군이 사회주의계열이긴 하지만 북한 정부 수립 공헌과는 무관하다는 추가 자료를 확보해서 재심사를 요청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백마 탄 여장군'으로 불린 김명시 장군은 조선공산당 재건 책임자인 홍남표(1888∼1950)·조봉암(1899∼1959)과 함께 중국공산당 상해 한인특별지부 조직 임무를 수행했다. 1930년 5월엔 하얼빈의 일본영사관을 습격해 징역 7년을 살았고, 출옥 후 항일무장투쟁의 최전선인 조선의용군(조선독립동맹 산하 군사조직) 활동을 벌였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