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대 여성의 삶 그대로 담은 이야기
남녀 대결 아닌 모든 차별에 대한 문제

최근 들어 여러 사람들로부터 <82년생 김지영> 봤냐는 질문을 종종 받는다. 영화 제작 전부터 출연하는 배우의 SNS가 악플로 도배되고 성별 갈등을 조장한다는 이유로 영화 제작을 반대하는 국민청원까지 등장하더니 영화 개봉 이후에도 영화를 둘러싼 논쟁은 여전히 뜨겁다.

내게 질문을 던진 사람들 역시 일부는 김지영의 삶에 공감하기 어렵다는 지적이고 일부는 영화에 공감하지 못하는 사람들에 대한 비판이었다.

이 영화에 대한 평가는 왜 이토록 다른 것일까? 누군가에게 이 영화는 위로가 되는데 또 다른 누군가에게는 왜 그토록 불편한 것일까?

이 영화를 비판하는 사람들은 여성들이 지나치게 피해자 코스프레를 하고 있다고 말한다. 더불어민주당 청년대변인의 논평처럼 여성뿐 아니라 남성도 힘들다고 말한다.

심지어 한 여성 아나운서는 "페미니스트들은 여성의 권력을 모르는 것 같다. 남자를 다스리면서 예쁨 받고 사랑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다"고 충고한다.

이 영화는 굳이 페미니즘을 말하는 영화도 아니고 여성만 힘들다고 말하는 영화도 아니다. 무엇보다 여성을 피해자로, 남성을 가해자로 설정하고 있는 영화는 더더욱 아니다. 그야말로 김지영으로 대표되는 여성의 삶을 보여주는 영화이다.

여성들이 살면서 경험하는 수많은 차별과 혐오의 문제를 드러냈다고 해서 이 영화를 남성에 대한 역차별, 남성혐오라고 하는 것은 그야말로 '오버'다.

이 영화가 불편한 사람들의 지적처럼 김지영이 경험한 모든 일을 82년생 여성들이 모두 겪지는 않는다. 그러나 김지영이 겪은 일들은 한국사회를 살아가면서 여성들이 경험하게 되는 많은 부당함과 불평등에 대한 이야기이다. 한 여성의 이야기가 아니라 이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여성들의 이야기에 가깝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국제시장>, <미생> 등 남성의 서사를 다루거나 남성의 좌절과 성장에 관한 수많은 영화와 드라마를 보면서 반대의 비난을 하지 않는 이유는 이 때문이다.

이 시대를 살아가는 청년들, 남성들의 삶 또한 녹록지 않다는 것을 왜 모르겠는가? 이 영화는 녹록지 않은 수많은 사람들의 삶을 뭉기고 82년생 여성의 삶만이 힘들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다. 우리 사회가 주목하지 못했던 여성의 이야기를 풀어내고 있는 것 뿐이다.

성평등은 여성과 남성의 대립 구도가 아니다. 그간 남성이 가진 권력을 여성이 가져오겠다는 것도 아니다. 여성에게 불평등한 사회는 남성에게도 불평등할 수밖에 없다. 여성에게 여성다움을 강요하는 사회는 남성에게 남성다움을 강요할 수밖에 없고, 여성에게 양육의 책임을 전가하는 사회에서 생계부양자의 주요 주체는 남성이 될 수밖에 없다.

여성들이 경험하는 일상적 차별과 불평등을 드러내는 것은 남성과 여성의 대결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사회 구조의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다.

영화는 차별의 원인을 남성으로 돌리지 않는다. 오히려 차별의 원인이 되는 '가부장제'라는 틀을 변화시키기 위한 연대와 공감을 말하고 있다.

김지영이 더 힘든지, 장그래가 더 힘든지는 그야말로 불필요한 논쟁이며 어떤 대안도 만들어내지 못한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갈등과 대립이 아니라 공감과 연대이다.

<베테랑>을 보며 기득권의 갑질에 함께 분노했던 것처럼, <미생>을 보며 청년들의 팍팍하고 고단한 삶에 공감했던 것처럼, 이 시대를 함께 살아가고 있는 김지영의 삶에 대해서도 공감과 연대를 보여주기를 진심으로 바라본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