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104.51·전년비 0.6% 하락
농산물값·유가 기저효과 여전
수요 위축이냐 아니냐 분분

경남지역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한 가운데 정부 설명과 달리 '수요 부진'에서 원인을 찾는 주장이 나와 눈길을 끈다.

동남지방통계청이 1일 내놓은 '2019년 10월 경상남도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10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4.51(2015년=100)로 전년 대비 0.6% 하락했다. 올해 1월부터 7개월 연속 0%대 상승률로 저물가 흐름을 보이다 8월 마이너스로 집계된 데 이어 9·10월 마이너스 상승률을 보이고 있다.

8·9월에 이어 10월에도 농수산물·석유류 가격 하락이 눈에 띄었다. 지난해에는 더위가 극심한 가운데 토마토(50.1%), 낙지(47%), 쌀(27.2%), 오징어(26.7%), 파(26.4%), 사과(14.4%) 등 가격이 2017년보다 크게 올랐었다. 하지만 올해는 여름철 기상 여건이 양호해 토마토(-31%), 파(-29.5%), 마늘(-25.9%), 고춧가루(-21.6%), 귤(-21%), 사과(-8.4%) 등 가격이 지난해 10월보다 크게 떨어졌다.

국제유가 하락 등 영향으로 석유류(-7.8%) 가격도 내려갔다. 자동차용 LPG(-15.2%), 휘발유(-8.4%), 경유(-6.4%) 등 가격이 전년 대비 하락한 모습을 보였다.

이런 가운데 저물가 흐름 원인을 '수요 부진'에서 찾는 주장이 나와 눈길을 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지난달 29일 '최근 물가상승률 하락에 대한 평가와 시사점'에서 "9월 발생한 물가 하락에는 일시적인 공급 충격이 상당 부분 기여하고 있어 물가 하락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점에서 현 상황을 디플레이션이라고 단정하기 어렵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올해 1~9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2013~2018년 평균인 1.3%보다 0.9%p 낮은 0.4%에 그치는 상황. KDI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물가안정목표(2%)보다 큰 폭으로 낮아진 요인에 대해서 "금년 물가상승률 하락은 정부 복지정책이나 특정 품목에 의해 주도됐다기보다는 다수 품목에서 물가상승률이 낮아지며 나타난 현상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KDI는 공급 측 요인뿐 아니라 '수요' 측 요인도 주요하게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공급 충격인 날씨나 유가 등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식료품·에너지는 물가상승률 하락에 -0.2%p 기여한 가운데 식료품·에너지를 제외한 상품(-0.3%p)과 서비스(-0.4%p)도 물가상승률 하락에 상당 부분 기여했기 때문이다. 올해 물가상승률과 경제성장률이 모두 하락한 것은 공급 충격보다는 수요 충격이 더 주요하게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KDI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낮아졌던 물가상승률 추세가 주요국에서는 반등했다는 점에서 한국의 낮은 물가상승률을 전 세계적인 저물가 현상의 반영으로 해석하기는 어렵다"며 "이상의 논의는 한국의 물가상승률 하락이 공급 충격, 수요 위축 등 단기적인 요인에 더해 물가상승률의 중장기적 추세가 하락하며 나타난 현상임을 시사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KDI는 2013년 이후 물가상승률이 통화정책의 물가안정목표를 지속적으로 하회했다며, 물가안정이 충분히 달성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이어 금융 안정을 명시적 목표로 삼고 있는 현재 통화정책 운용체계는 물가상승률 하락을 기준금리 인하로 대처하는 것을 제약할 수 있으므로 통화정책이 본연의 책무인 물가안정을 중심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운용체계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통계청은 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KDI는 근원물가로 비교해서 수요 부진을 원인이라고 하고 있다"며 "외식 서비스 중 유일하게 하락하는 게 생선회인데, 이는 수요 부진이라기보다는 연어 수입 증가에 따른 대체, 양식업으로 생산량 확대 등 공급 측 요인도 분명히 존재한다"고 말했다. 이어 "공업제품 물가 하락의 주요인인 TV도 수요 부진이라기보다는 저비용의 신제품 생산으로 생산가격이 하락했기 때문이다. 그런 부분은 유념해주면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윤면식 한은 부총재는 지난달 31일 "금융 안정도 중요하다는 것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교훈인데, 물가안정에만 중심을 둬야 한다는 주장은 다소 이르다"며 "KDI 주장이 현재 상황에서 이해되는 바는 없지 않지만 통화정책을 그렇게만 운영할 수 없다"고 반박하기도 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