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수리·까마귀 매개체 제외 의아
사체 먹고 남한 전파 가능성 있어

아프리카돼지열병(이하 ASF) 때문에 인천시 강화군은 모든 농장의 돼지를 살처분하기로 했다고 한다. 또한 ASF 확산 방지를 위해 발생 농장 500m 내 돼지를 살처분한다는 규정을 바꿔 3km 이내로 확대했다고 한다. 전국 축산 농가는 걱정이 태산이다.

ASF는 멧돼짓과 이 외 사람을 포함한 다른 동물에 감염되지 않고, 백신이나 치료제가 없다. 잠복기는 4~19일이며 치사율이 100%라고 한다. ASF에 감염된 돼지는 발열과 함께 장기와 피부 등에 출혈이 나타난다. 또한 41∼42℃ 고열과 식욕 결핍 등의 증상을 보이며 발병 후 1~7일 이내 죽는다.

ASF 바이러스는 생존력이 높고 전염성도 강해 실온 분변에서 5일 이상, 혈액을 냉장할 경우 1년 반~6년, 실온에서는 1개월 생존 가능하다. 냉장육에서는 15주, 냉동된 사체에서는 수년 동안 생존할 수 있다고 한다.

세계동물보건기구(OIE) 통계에 따르면, 2018년 세계 14개국에 ASF가 발생했고 그중 10개국이 동유럽과 러시아이며, 나머지 4개국은 아프리카지역이다.

감염 경로는 동물의 침·분비물·분변 등을 접촉해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지난달 26일 인천 강화도 서쪽에 자리한 석모도의 ASF 확진 사례는 지금까지 알려진 발병 공식에 맞지 않아 당국이 크게 당황하고 있다. 병원균이 돼지와 직접 접촉해야 감염되는데 외부와 다리 하나로 연결된 섬에는 돼지 단 2마리만 있는 폐농장이 있다. 해당 농장에는 축산 차량이 다녀간 사실도 없고 북한 접경 지역을 따라 흐르는 임진강 등에서 ASF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야생 멧돼지가 DMZ 철조망을 뚫고 넘어 올 수도 없기 때문에 죽은 멧돼지 사체가 태풍 때 남쪽으로 떠내려왔을 가능성에 방역 당국은 무게를 두고 있다.

그러나 방역 당국이 ASF 병원균 매개체에서 독수리와 까마귀를 제외한 이유를 필자는 이해할 수가 없다.

무더운 여름철 유해 야생동물 포획 활동을 하는 엽사들은 고라니와 멧돼지를 포획하면 운반하기 힘들고, 여름철에 포획한 동물은 맛이 없기 때문에 산에 버리기 일쑤다.

산에 버려진 야생동물 사체와 내장을 독수리와 까마귀들이 뜯어 먹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까마귀는 동물성에 가까운 잡식성 동물이기 때문에 북한에서 ASF로 죽은 멧돼지를 뜯어 먹지 않았다는 보장이 없다.

또한 사람을 포함하여 멧돼짓과 이외 동물들은 ASF에 감염되지 않아, 북한에서 죽은 멧돼지 사체를 뜯어 먹은 독수리·까마귀가 ASF 병원균을 보유한 채 남한의 축산농가와 접촉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봐야 하지 않을까?

까마귀·독수리는 이동 경로가 크기 때문에 축산농가에서 사료도 먹고 배설물을 버렸을 가능성이 있어, ASF 감염경로를 축산차량과 멧돼지로 한정하는 것은 방역에 허점이 있어 보인다. 특히 독수리와 까마귀는 겨울을 나기 위해 남하하여 우리나라 축산농가에 ASF를 전파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축산농가에 까마귀 등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차단막을 설치하는 등의 방역 대책이 필요하고, 각 지자체 또한 여름철에 유해 야생동물을 포획하면 산에 버리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대책을 세워야 할 것으로 보인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