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도 고령화 사회로 본격 접어들었다. 노인 인구 증가에 잘 대응할 필요성이 제기된 지도 오래되었다. 문재인 대통령은 치매 국가책임제를 제시하였고, 경남도 또한 정부 정책에 맞추어 치매 예방·관리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모양새다.

노인들이 제일 두려워하는 질병이 치매라고 한다. 치매는 다른 질환과 달리 환자 본인의 인간 존엄성도 무너지고 생존까지도 위협받을 뿐 아니라 온 가족이 함께 고통받는 문제다. 그러나 지금까지 치매에 대한 우리 사회 이해는 개인의 불행과 가족이 책임져야 하는 데 머물고 있었다. 이런 전통사회적 인식은 한계에 다다랐다. 핵가족화와 홀로 사는 노인이 많아지면서 지역사회가 함께 돌봄과 예방을 해야만 하는 시대가 된 것이다.

경남도는 올해를 경남형치매관리모델 정책 모델 추진 원년으로 선언하고 민관과 함께 다양한 정책 마련에 나섰다. 치매 환자와 가족은 물론이고 우리 모두가 치매 대상이 될 수 있으므로 경남도 정책 방향은 매우 잘된 것이다. 치매를 예방하고 치매 환자를 돌보는 치매안심센터도 기초자치단체들에 들어서고 있다. 경남도 치매 인구는 5만 3000여 명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수치를 주목해야 하는데 우리나라 치매 환자 수 증가치는 고령화보다 더 빠르다고 한다. 치매 관리를 국가 차원에서 진작 서둘렀어야 했다. 그동안 정부 차원 대책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2008년 치매종합관리 대책이 나왔고 노인들을 상대로 치매예방교육 등이 시행되었다. 하지만 치매를 잘 관리하고 이를 정착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경남도가 치매로부터 안전한 경상남도라는 목표를 정하고 정착을 서두르고 있는 것에 대한 기대를 하게 하는 이유이다. 경남형 치매관리 모델 핵심은 다양한 지역네트워크를 구축해 치매 문제를 지역사회에서 함께 해결하겠다는 것이다. 행정체계 정비와 함께 다양한 정책들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아무리 정책이 좋아도 치매환자 관리가 현장에서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백약이 무효이다. 국민 전체 인식도 바뀌어야 한다. 일본이 치매는 사회가 보듬어야 할 노화의 한 과정으로 받아들이려고 노력하는 것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치매는 우리 사회가 보듬고 같이 해결해야 할 과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