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계의 전반적인 침체 속에 소극장은 더욱더 위기에 처해 있다. 지난해 창원 가배소극장이 문을 닫은 것도 이런 사정을 말해준다. '공연예술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지난해 8월 말부터 올해 9월 말까지 경남지역 공연 시설을 이용한 관객 수는 4만 6000여 명이며, 그 중 민간 소규모 극장 이용자는 2600여 명이었다. 관객 수 대비 5.6% 남짓에 불과하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문화예술계를 지원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그러나 대부분 공연하는 단체나 예술인 또는 관련 사업에 대한 지원 위주였다. 문화예술 활동을 하려고 해도 공간이 없으면 불가능하다. 높은 지대와 극장 경영의 어려움을 고려하면 공연이 이루어지는 공간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이 필요해졌다. 서울시처럼 한시적으로 임대료를 과감하게 지원함으로써 경영난으로 문닫는 소극장이 없도록 하거나, 지자체에서 소극장을 아예 사들여 직접 관리하는 방식도 강구할 수 있다. 어떤 식으로든 공공의 적극적인 지원이나 공공성 강화가 대책이 될 수밖에 없다. 물론 정부나 지자체가 이러한 방식을 추구하기에는 재정적 부담이 매우 크다는 것은 인정해야 한다. 하지만 문화예술에 대한 효과적인 지원, 소극장이 공연 문화에서 차지하는 위상 등을 고려하면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소극장은 유구한 역사와 저력을 자랑한다. 이미 일제강점기에 소극장을 중심으로 연극운동이 활발하게 벌어졌다. 또 1980년대만 해도 공연법 개정, 경제 성장, 연극을 통한 반독재 저항운동 영향으로 소극장 공연이 호황을 이루었던 역사가 있다. 소극장은 지역사회에 뿌리내리고 주민들과 함께 호흡하면서 주민들이 도서관이나 마을 서점처럼 문화사랑방으로 즐겨 찾는 공간이 될 수 있다. 상업성에 함몰되지 않고 실험적이거나 혁신적인 연극 공연이 가능한 곳도 대규모 공연장보다는 소규모 공연장에 더 적합하다. 명작은 작은 극장에서 태어난다. 마침 경남도립극단 출범을 앞둔 만큼 지역 공연 예술인들의 기대는 커졌다. 경남도립극단이 예술인들 의견을 깊이 경청하여 문화예술의 모세혈관과도 같은 소극장을 활성화하는 데 힘을 기울이기 바란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