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진주혁신도시 12곳
내일 실무추진단 간담회
지역구매 우선 정책 추진

경남도가 도내 앵커기관들과 손잡고 '로컬퍼스트'와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공공조달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도는 우선 주요 앵커기관들과 공공조달 네트워크를 구축할 계획이다. 앵커기관은 지역사회에서 많은 이를 고용하고 돈을 쓰며 닻(anchor)을 내린 지방자치단체와 교육청, 정부기관, 경찰서, 대학, 병원 등을 말한다.

◇앵커기관들 뭉친다 = 공공조달 네트워크에 참여할 앵커기관은 도, 도교육청, 창원시, 공공기관인 창원대·한국남동발전·한국토지주택공사·한국시설안전공단, 도출자·출연기관인 경남연구원·경남개발공사·경남테크노파크·마산의료원·경남신용보증재단 등 12곳이다.

이들 기관은 17일 실무추진단 간담회를 열고 실행 가능한 사회적 기업 공공조달 사업을 논의한다. 이어 도는 공동사업을 발굴해 10월에 앵커기관장들과 네트워크 출범식을 할 계획이다.

윤난실 도 사회혁신추진단장은 공공조달 혁신에 대해 "사회적 가치 공공조달과 소상공인, 중소기업, 농산물 등 지역구매 우선정책으로 지역순환 경제를 구축하고 나아가 일자리를 만드는 방향으로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단순한 지역물품 구입뿐만 아니라 공공조달과 연계한 사회적기업·협동조합·생산자단체 등 활성화로 인적·물적 선순환 지역경제 생태계로 혁신하겠다는 것이다.

공공조달 혁신으로 지역경제를 활성화한 대표 사례는 미국 클리블랜드와 영국 프레스턴이다. 이들 도시의 앵커기관들은 뜻을 모아 자본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는 지역구매 우선 정책을 펴면서 고용과 소득을 올려 지역사회에 생기를 불어넣었다.

◇저조한 사회적기업 구매 = 현재 통계체계에서 공공기관이 지역물품을 얼마나 구매하는지 알 수 없다.

지난해 경남도 각종 계약과 물품구매 조달금액 2350억 700만 원 중 지역업체 구매비율은 66.5%이다. 그러나 이는 본사가 수도권에 있는 도내 대리점과 대형마트에서 물품을 샀더라도 도내 구매로 잡힌 것이다.

사회적기업 육성법이 2012년 시행됐으나 경남지역 공공기관의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실적은 저조하다. 고용노동부가 지난 4월 공고한 지난해 실적 자료를 보면 경남도 구매비율은 0.88%로 17개 시·도 중 15위에 머물렀다. 이는 서울시(8.166%)와 비교하면 현저하게 떨어진다.

다른 기관도 마찬가지다. 도교육청(0.98%)은 15위, 시·군들(표 참조)도 대부분 하위권이다. 지방공기업 중 창원경륜공단(3.36%), 거제해양관광개발공사(3.30%), 창원시설공단(3.17%), 양산시시설관리공단(1.84%), 밀양시시설관리공단(1.75%)은 평균(1.69%)을 넘었다. 그러나 경남개발공사(1.42%), 김해시도시개발공사(1.28%), 함안지방공사(1.23%), 창녕군시설관리공단(1.10%), 통영관광개발공사(0.37%), 사천시시설관리공단(0.03%)은 낮았다. 경상대병원은 0.01%였다.

그나마 34개 지방의료원 중 마산의료원(6.57%)은 6위를 기록했고, 경남에 본사를 둔 공기업 한국남동발전(3.88%)과 한국토지주택공사(3.53%)가 높았다.

◇선순환 지역경제 조성 = 이 같은 현실에서 도는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공공조달 혁신을 추진해왔다.

지난 7월 출자기관과 사회적 가치기반 공공조달 간담회를 했다. 이어 지난달 8일 사회혁신 연속토론회 첫 번째 주제로 '공공조달 혁신방안'을 잡았다. 실국장이 모두 참석한 8월 전략회의 주제도 공공조달 혁신으로 잡아 토론했다.

김경수 지사는 회의에서 "언제까지 제도 탓, 법 탓할 것인가"라며 "어떻게 하면 적극적으로 도 차원에서 풀어나갈 수 있을지, 우리보다 잘하는 데서 우리한테 없는 게 뭔지 찾아서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남에서도 공공조달 변화 움직임이 일기 시작했다. 진주혁신도시에 있는 9개 공공기관은 도와 로컬푸드 공급 공공조달시스템 협의를 하고, 구내식당에 지역농산물을 우선 구매하기로 했다. 앞서 혁신도시 5개 공공기관은 '지역사회와 상생·협력을 통한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계약업무협의회를 6월부터 열어왔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