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가 9월에 가칭 '㈜경남벤처투자'를 설립할 계획을 발표했다. 자본금 규모는 도가 4억 원, 도내 5개 기업 5억 원, 농협과 경남은행 각 5억 원, 전문투자자 28억 원 등 47억 원이다. 출발은 소규모지만 수요에 따라 규모를 키워갈 수 있을 것이다.

2010년대 들어 '4차 산업혁명' 등 정보통신기술이 발전하면서 기술과 아이디어만으로 창업할 수 있게 되었고, 정부 창업지원 프로그램도 도움이 됐다. 벤처기업 신규투자는 2015년 2조 원에서 2018년 3조 4000억 원, 2019년 상반기 1조 9000억 원으로 확대됐다. 정부가 인증한 벤처기업은 몇 년 사이 빠르게 늘어 3만 6000여 곳이나 된다.

전국 116개 창업투자사 중 90%가 수도권에 몰려 있는 지역불균형 상태에서 경남 기반의 창업투자사가 생기면 기술력 있는 지역 중소·벤처기업들이 자금을 조달하고 경영자문도 받을 수 있다. 지역 기업들이 일본 경제보복에 따른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술혁신을 통해 부품·소재·장비 국산화 비율을 높여야 하는데 지역 창업투자 확대가 이를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외환위기 후 창업투자 붐이 일었다가 거품이 붕괴된 2000년대 초의 사태가 재연하지 않고 창업투자가 안착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창업투자 지원을 노리는 '묻지마 창업'을 억제하기 위해 창업지원 공공기관이 창업 계획을 전문적으로 검토하고, 옥석을 가리는 역할을 해야 한다. 창업 성공을 위해서는 실행을 통해 경쟁력 있는 서비스를 만들어야 하는데, 이와 관련된 조언이나 인재 및 네트워크 연결 등 사후관리(투자 후 지원)도 충분히 해야 한다. 대기업이 기술탈취 등으로 창업기업을 궁지로 몰지 없도록 공정거래 관행을 확립하는 것도 필수적이다. 우수한 인재들이 있어야 창업을 촉진하고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창의력과 상상력을 키워주는 교육 개혁과 지역 기술개발(R&D) 체계 혁신을 통해 지역 인재를 키워내야 한다. 창업에 실패해도 기본적인 생활을 뒷받침해주는 사회안전망이 구축되어야 젊은 세대가 창업에 도전할 수 있다. 북구 국가들의 경험처럼 불평등 개선은 창업 촉진에 기여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