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가구 급증…전체 가구 27%
직장 없으면 경제·사회적 고립
"대안적 공동체 등 정책 긴요"

최근 고독사 통계에서 가장 높은 비율은 40·50대 중년층이다. 중년 고독사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1인 가구 대책이 절실하다. 특히 중년 남성의 고독사 위험이 높다. 중년층 고독사 위험이 높은 것은 사회 관계망이 무너져 버린 데 기인한다. 노년층 중심으로만 시행되고 있는 고독사 방지대책으로는 중년층 고독사를 막기 어렵다.

◇사회관계망 붕괴, 고독사 위험 높여 = 경찰이 전하는 고독사 현장은 처참하다. 악취가 현관문과 창문 밖으로 새어나와서 이웃 주민이 알 정도가 되면 집안의 상황은 들어가기가 겁날 정도다. 형체를 알기 어렵게 부패한 시신과 흘러나온 액체가 이부자리나 바닥을 검게 물들이고 있다. 지난 13일 진해구 청안동에서 일어난 50대 고독사 현장은 가장 전형적이다.

의료진 검안을 마치면 지갑에 남아있는 신분증과 지문 등으로 신원을 확인하고 나서 유가족을 찾는다. 이미 생전에 왕래가 드물 정도로 관계가 악화된 경우가 많아 돌아오는 반응도 건조하다. 시신 인도가 확정된 뒤 유가족이 시신을 인수한다는 서명을 하면 그나마 다행이다. 유가족이 아예 없거나 찾을 수 없으면 결국 무연고 사망으로 처리된다. 이 경찰은 "물론 무덤마다 핑계는 다 다를 테지만 특히 중년 남성의 고독사는 배달음식이나 인스턴트 음식 봉지가 쌓여 있다거나 술병이 쌓여 있는 것처럼 전형적이고 공통된 모습이 확 눈에 띈다"고 말했다.

40·50대 중년층 고독사 위험이 높은 것은 사회 관계망이 무너져버린 데 기인한다. 이는 1인가구가 급속히 늘어난 변화와 관련이 깊다. 1990년대 9%였던 1인가구 비율은 2015년 27.2%로 높아졌고, 2025년에는 31.3%까지 올라갈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퇴직이나 실직으로 경제적 불안에 시달리고 가족 해체를 경험하는 40·50대 중년층과 같은 '비자발적 1인가구'가 고독사 위험에 취약한 집단이다. 여기에는 일자리를 구하기 위해 가족과 함께 살던 집을 떠나 다른 지역에서 혼자 사는 20·30대 청년층도 포함된다. 청년층 고독사도 충분히 늘 수 있는 사회·경제적 여건들이 자리잡고 있다.

그간 고독사 위험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노년층 1인가구는 비교적 공동체적 생활문화가 남아있는 농촌지역에 집중돼 있고, 경로당이나 복지시설처럼 정기적으로 타인과 접촉할 수 있는 공간도 마련돼 있다.

그에 비해 청년·중년층 1인가구는 직장이 없으면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는 것 외에도 정기적으로 안부를 확인할 통로마저 사라지게 된다. 이들의 경제적 궁핍은 사회적 고립과 직결된다.

◇사회복지 대책 마련 시급 = 지자체 단위에서 1인 가구 등 고독사 취약층을 점검하는 방안 말고는 특별한 대책이 없다는 점도 문제다. 지금도 부족한 일선 사회복지 담당 공무원에게 과도한 부담이 가중된다. 1인 가구가 늘어나며 복지수요도 그만큼 커질 수밖에 없는데, 담당 인력 확충은 하루아침에 이뤄지기가 힘들다. 사회복지 공무원 1인당 담당하는 주민 수는 OECD 평균 70명이지만 국내에선 1인당 500명이 넘는 주민들을 담당하고 있다.

창원의 한 사회복지공무원은 "관내에 등록된 독거노인들은 그나마 주소라도 즉각 찾을 수 있게 파악돼 있지만 주민등록상 자녀나 가족과 함께 사는 것으로 된 노인들과 아예 따로 분류조차 해놓지 않은 중년 1인가구는 고독사 위험이 있는지 어떤지조차 알 수 없는 것이 현실"이라고 했다.

나눔과 나눔 박진옥 사무국장은 "1인 가구 대책을 제시할 때 연령대별 대책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중년층 고독사는 결국 사회와 단절된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지에 따라 결정된다"며 "한국인의 '죽음의 질'이 세계에서 가장 낮은 편에 속한다는 조사 결과를 볼 때 고독사를 정면으로 마주하면서 대안적인 공동체와 정책을 모색할 필요도 더욱 커진다"고 밝혔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