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란을 깨거나 돌리지 않고 세울 수 있을까? 세우는 것을 넘어 자기 부상까지 할 수 있다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전기전문 연구기관인 한국전기연구원(이하 전기연구원)이 세계 최초로 초전도 기술을 활용하여 계란 세우기에 성공해 눈길을 끈다. 계란을 깨서 세웠던 콜럼버스와 회전 자기장으로 계란을 돌려서 세웠던 테슬라의 수준을 넘어, 초전도 기술로 계란을 세우는 것은 물론 공중부양까지 성공해 주목받고 있다.

계란은 밑바닥이 둥글어서 잠깐 세운다고 하더라도 무게중심이 높고 밑바닥이 평평하지 않기 때문에 옆으로 쓰러진다. 계란 세우기가 유명해진 것은 과거 신대륙을 발견했던 콜럼버스가 계란의 한쪽 끝을 살짝 깨서 계란을 세웠던 일화에서부터 시작됐다. 계란을 깼기 때문에 세우기에 성공했다는 의미보다는, 기존의 갇혀 있는 사고를 뛰어넘어, 발상의 전환과 혁신의 중요성을 강조한 사례다.

이후 전 세계 많은 사람이 새로운 혁신을 보이고자 계란 세우기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로 천재 과학자인 '니콜라 테슬라'가 회전하는 자기장으로 계란을 돌려서 세운 방법이 있으며, 이외에도 남미 에콰도르에서는 원심력이 지면과 수직인 적도에서 계란 세우기에 성공했다.

하지만, 최근 전기연구원은 전기기술을 활용해 기존의 수준을 훨씬 능가하는 신개념의 계란 세우기를 선보였다. 최규하 원장을 비롯한 실험팀은 '초전도'라는 특수한 전자기 현상을 활용하면 계란을 세울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발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초전도'는 금속 등의 물질을 일정 온도 이하로 냉각하면 갑자기 전기저항을 잃고 전류를 무제한으로 흘려보내는 현상이다. 초전도체는 내부로 자기장이 통과하지 못하고 밀려나는 일명 '마이스너 효과'라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자석 위에 초전도체를 갖다 대면 공중부양을 하는 신기한 현상이 발생한다.

실험팀은 이러한 초전도의 특성을 생각하며, 계란 밑에 자석을 접착제로 붙이고서, 이 계란을 액체질소로 냉각된 초전도체 위에 올려보았다. 그 결과 초전도체 특유의 '마이스너 효과'로 계란이 서는 것은 물론 공중부양까지 성공할 수 있었다.

전기연구원 최규하 원장은 "그동안 다양한 방법으로 계란을 세우기 위한 시도가 있었지만, 초전도 기술을 활용해 계란을 세우고 자기부상까지 성공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라며 "이렇게 상상을 현실로 만드는 첨단 전기기술이 미래 우리의 삶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전기연구원은 '초전도 기술을 활용한 계란 세우기' 실험 과정이 담긴 콘텐츠를 국·영문으로 제작해 페이스북,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 SNS 채널에 게재했다. 전기연구원은 낙뢰를 피하는 방법, 휴대전화 배터리를 오래 사용하는 방법, 한국의 220V 사용 유래 등을 SNS에 올려 흥미로운 과학상식과 함께 연구성과낙뢰를 피하는 방법, 휴대전화 배터리를 오래 사용하는 방법, 한국의 220V 사용 유래 등을 SNS에 올려 흥미로운 과학상식과 함께 연구성과를 널리 알렸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