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최근 5년간 40·50대 최다
"사회관계망 등 정책 확대해야"

지난 13일 오후 3시 20분께 창원시 진해구 청안동 한 아파트에서 혼자 살던 ㄱ(55) 씨가 사망한 채 발견됐다. 발견 당시 시신은 상당히 부패한 상태였다. 부검 결과 ㄱ 씨는 7월 말에서 8월 초에 사망한 것으로 경찰은 밝혔다. ㄱ 씨는 약 30년 전 이혼 후 줄곧 홀로 살아온 기초생활수급자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해마다 이 같은 고독사가 발생하고 있고, 사회문제로 인식되고 있지만 중장년층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낮다. 그런데 실제 사망자를 보면 65세 이상보다 40·50대 등 중장년층 고독사가 더 많이 발생하고 있다. 중장년층 고독사를 막을 사회안전망이 더욱 촘촘해져야 하는 것이다.

경남도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경남지역에서 홀로 집에서 숨진 사망자는 2015년 1명에서 2016년 8명, 2017년 5명, 지난해 30명으로 급증했다. 올해는 지난 6월 기준으로 12명이었다.

5년간 사망자 56명 중 40대가 6명, 50대가 27명 등으로 중장년층만 33명이었다. 60대 이상 사망자는 60대 9명, 70대 11명, 80대 2명 등 총 22명이었다. 30대 사망자는 1명이었다.

이처럼 중장년층 사망자가 더 높게 나타나고 있지만 정부를 비롯해 경남도와 지자체는 65세 이상 1인 가구 돌봄사업에만 관심을 두고 있다.

경남도가 중앙정부와 함께 추진하는 정책을 보면 △노인돌봄서비스 △응급알림안전서비스 △안전확인사업(찾아가는 돌봄서비스) △공동생활가정 △1인 가구 대상 상담지원 △독거노인 생활관리사 주2회 확인 등이다. 대부분 사업이 독거노인을 비롯한 65세 이상 고령층을 위한 제도다.

복지 전문가들은 IMF 외환위기 이후 급격히 진행된 가정 해체와 일자리 감소가 복합적으로 빚어낸 사회문제라고 보고 있다.

무연고 사망자를 지원하는 나눔과 나눔 박진옥 사무국장은 "실업 장기화와 독거가 결합하면서 사회 관계망을 잃은 중장년층이 고립돼 여러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아직 고령이 아니란 이유로 각종 복지 제도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셈"이라며 "중장년층이 고독사 위험군이라는 사회적 인식이 퍼져 있긴 하지만 여전히 정책은 노인중심이다. 생사확인 대책이 아니라 고독사 위험군을 발굴해 건강과 이웃과 교류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려는 노력이 중요하다"고 했다.

또 박 국장은 "돈을 버는 능력이 곧 사람의 가치라고 생각하는 사회 인식을 바꿔야 한다. 그래야 스스로를 고립하지 않게 돼 무연고 사망이 줄어들고 이들이 삶의 의지도 되찾을 수 있다"며 "마음을 닫은 사람들에게 계속 노크를 하고 관계망을 만들어주는 등 지자체 사업을 늘려야 한다. 장기적 과제라고 생각하고 계속 고민하고 다양한 해법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경남도 관계자는 "고독사 방지 사업으로 커뮤니티케어 통합돌봄사업에 ICT(정보통신기술)를 도입할 계획도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