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지방해양수산청의 마산만 추가 매립 공사 시행 허가가 큰 반발을 낳고 있다. 지난 6일 마산해양수산청이 고시한 '마산항 가포물양장 개량공사'는 창원시 마산합포구 가포동 67-1번지 전면수역에 모래부두 1선석(5000DWT급), 접안시설 130m, 호안시설 112m, 급·배수공, 전기 및 통신공, 기타부대공 1식을 건설하는 내용이다. 공사 기간은 24개월이며 총사업비는 91억여 원이다.

가포물양장 개량공사는 마산해양수산청이 2014년 사업시행자 선정을 고시한 이후 2015·2017년, 그리고 이번까지 시행허가만 세 차례 고시되었다. 2015년 첫 고시에서 마산해양수산청은 가포물양장을 개량하여 마산항 인근에 골재류를 안정적으로 공급한다는 목적으로 60억여 원의 예산을 투입, 3000DWT급 모래부두 건설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2017년 고시에서는 전년도 해양수산부의 '제3차 전국 항만기본계획 수정 계획'을 통해 모래 1선석을 지원받게 되어 모래부두 크기를 5000DWT급으로 두 배 가까이 늘리고 사업비도 두 배가량 키웠다. 이번 고시는 2년 전 고시 내용과 거의 흡사하다. 마산해양수산청은 2015년 이후 사업계획이 수정되고 시행사가 절차를 지키지 않아 계획이 반려되는 과정을 거쳤다고 밝혔다. 그러나 사업성과 환경적 측면을 모두 고려했는지는 의문이다.

불황 여파로 마산만 모래 물동량은 감소 추세에 있다. 마산해양수산청 공식 집계에서 올해 1분기 모래 물동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의 18만t에서 5만t으로 71%나 감소했다. 바다를 메워 모래부두를 짓는 것이 얼마나 경제적 실익이 있는지 의문이 든다. 또 환경단체들은 마산만 추가 매립은 마산만 수질 개선을 위한 지자체와 시민의 노력에 찬물을 끼얹는 행위라고 반발하고 있다. 마산항은 해양수산부로부터 '지역산업 특화형 항만'으로 지정되어 2030년까지 항만 배후단지로 개발될 계획이다. 정부 항만 개발 사업 계획이 돈을 낳는 물류 차원으로만 해양자원을 보거나, 대규모 개발을 통해 불황 타개를 도모하는 과정에서 환경문제를 소홀히 다루지 않았는지 묻고 싶다. 마산만 매립은 서두를 일이 아니다. 정부와 마산해양수산청이 신중히 검토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