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분 구조 설명 등 분주
도내 매장 "큰 영향 없어"

'NO 일본'이 확산하는 가운데 일본계 기업으로 지목된 기업들은 해명하느라 분주한 상황이다.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바코드 확인법'이 퍼져나가는 등 불매운동 열기는 식을 줄 모르고 있다.

◇'바코드 확인법' 등 불매운동 정교해져 = SNS상으로 '바코드 확인법'이 공유되고 있다. 이 확인법에 따르면 제품 바코드를 통해 일본 제품을 구분할 수 있다. 우리나라 제품은 국가 코드가 '88'이지만 일본 제품은 '45'나 '49'로 시작하기 때문이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49싶어도 45지말자' 캠페인도 벌어지고 있다.

일본 상품의 대체품을 알려주는 '노노재팬'에서는 바코드 검색 기능도 추가됐다. 하지만 바코드만으로 일본 제품을 100% 가려낼 수 있는 건 아니다. 일본산이라도 국내에서 포장작업을 할 경우 한국 코드가 붙기 때문이다. 실제 한 제품의 경우 바코드 숫자가 88로 시작되고 노노재팬에서도 '일본생산 제품이 아닙니다'라고 알려줬지만 제품 한쪽에는 'Made in Japan'이라고 표시돼 있었다.

'국내 대형 식품사 일본산 재료 사용 현황'이라는 게시글도 퍼지고 있다. 국내 식품기업 제품 중 일본산 재료가 들어간 현황이 정리돼 있다.

◇'일본계 기업' 지목된 기업 해명 분주 = 불매운동이 정교해지는 가운데 다이소·쿠팡·세븐일레븐 등 '일본계 기업'으로 지목된 기업들은 해명하느라 분주하다.

㈜아성다이소가 운영하는 생활용품업체 다이소는 '일본계 기업'이라는 시선을 끊임없이 받아왔다. 다이소는 국내 회사로 출발했지만 2001년 11월 일본의 균일가 상품 유통회사인 대창(大倉)산업과 합작해 상호를 다이소아성산업으로 변경했으며, 2002년 3월 외국인투자촉진법에 의한 외국인투자기업으로 등록했다.

현재 창업주인 박정부 회장이 최대주주인 아성에이치엠피가 50.02%, 일본의 대창산업이 34.21%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아성다이소 관계자는 "일본 다이소와는 지분 투자 이외에 로열티 지급이나 인적 교류, 경영 참여 등 관계가 없다"며 "삼성전자도 외국인 지분율이 높지만 그렇다고 삼성전자가 외국 기업은 아니지 않느냐"고 말했다.

전자상거래업체 쿠팡의 경우 손정의 일본 소프트뱅크 회장이 이끄는 소프트뱅크비전펀드(SVF)가 지분 투자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일본 기업이라는 소문에 시달리고 있다. 업계에서는 SVF의 쿠팡 지분율이 30%를 넘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쿠팡은 자체 뉴스룸을 통해 "쿠팡은 해외 투자를 유치해 한국 경제의 성장을 돕고 있다. 한국을 대표하는 많은 기업이 이런 방식으로 한국 경제에 기여한다"며 "KB금융의 외국인 지분은 70%에 육박하고, 삼성전자와 네이버의 외국인 지분율도 60%에 가깝다"고 말했다.

롯데 계열사인 코리아세븐이 운영하는 편의점 세븐일레븐도 브랜드 탄생지가 미국이지만 1990년대 일본 기업 이토요카도가 미국 세븐일레븐 지분 70%를 인수했다는 점 때문에 공격받고 있다. 한국의 세븐일레븐은 1988년 코리아제록스와 사우스랜드가 합작해 설립한 코리아세븐이 운영하고 있다. 코리아세븐은 1994년 롯데지주에 인수돼 현재 롯데 계열사에 속한다. 코리아세븐 대주주는 지분 79.66%를 보유한 롯데지주이다.

◇"눈에 띄는 변화 없어" = 온라인과 달리 6일 다이소·세븐일레븐 매장에서 만난 직원 등은 "눈에 띄는 변화는 없다"고 밝혔다. 다이소 마산창동점, 마산해운동점, 마산양덕점에서 만난 직원들은 "불매운동이 진행되고 있지만 손님이 줄거나 하지는 않았다"며 "인터넷 등으로 일본 기업이 아닌 것을 인지하거나 이미 알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세븐일레븐 또한 마찬가지. 마산창동상상길점, 마산월영마을점, 마산아모르호텔점, 마산합성중앙2호점에서 만난 점주·직원들은 일본 기업인지 묻는 손님들이 간혹 있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마산합성중앙2호점 점주는 "학교 인근에 있는 지점의 경우 학생들이 찾지 않는다는 이야기는 들었지만 여기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말했다.

불매운동을 진행하는 데 신중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다이소 마산양덕점에서 만난 이현우(41·창원시 마산합포구 월영동) 씨는 "일본 기업에서 일하고 있는 한국인들 일자리는 어떻게 되는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불매운동만이 답은 아닐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