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리고 치우는 주체는 같아야"
어구실명제 도입 제안

▲ 지난달 22일 지욱철 통영환경운동연합 의장이 바다 쓰레기 정화사업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혜영 기자
▲ 지난달 22일 지욱철 통영환경운동연합 의장이 바다 쓰레기 정화사업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혜영 기자

통영환경운동연합 '화삼어촌계와 함께하는 견내량 해양쓰레기 정화사업'은 '버리는 사람과 치우는 사람이 같아야 한다'는 어쩌면 당연한 논리에서 시작됐다. '80대 주민도 바뀔 수 있을까?'라는 의문에서 출발했지만, 바다를 잘 아는 어민들이야말로 바다 감시자이자 보호자라는 답을 얻었다. 지욱철(54) 통영환경운동연합 의장을 만났다.

- 견내량 해양쓰레기 정화사업이란?

"2017년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사업에 신청해 3년간 5억 원 사업비를 확보했다. 민관합동으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행정과 수협이 기자재 등을 지원하고 화삼어촌계 40명 주민이 일주일에 한 번 해양 쓰레기를 거둬들이고 5만 원 일당을 받는다. 학생들의 바다 정화 활동은 주민 변화를 이끌어내지는 못했다. 이 사업은 주민 생활 방식을 바꿨다."

- 80대 주민도 바뀔 수 있다는 말인가?

"체화되면 의식도 바뀐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전에는 몰라서, 관습적으로 폐어구를 바다에 버리던 사람들이 비닐봉지 하나를 버리지 못해 되가져온다. 서로 감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쓰레기를 버린 사람들이 모인 곳을 잘 알기 때문에 수거 작업도 효율적이다."

- 실제 드러난 효과는 무엇인가?

"화삼리 연안은 세계적 보호종인 잘피 자생지다. 잘피는 수질을 정화하고 적조를 예방하는 역할을 하지만 해양 쓰레기와 수질 변화로 잘피 자생지는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최근 5년간 지역 주민과 함께한 노력으로 잘피 숲이 늘어나고, 없던 곳에서도 잘피가 확인되고 있다."

- 해양 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

"어구실명제 도입을 서둘러야 한다. 어구 분실 신고를 하면 해양경찰이 나서야 침저 쓰레기를 줄일 수 있다. 정부가 지금에서야 해양 쓰레기 처리 노력을 기울이지만, 어구를 양식장 스티로폼으로 권장한 것이 정부다. 문제가 생기니깐 고밀도 부표를 만들기 시작했고, 이를 친환경이라며 권장했다. 법이 촘촘하게 개선돼야 하고, 해양 쓰레기 처리 주체가 기업이 아닌 어민이 돼야 한다."

 

※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