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는 내년 7월까지 재단법인 형태로 평생교육진흥원을 설립할 계획이라고 한다. 이를 위해 올 9월까지 행정안전부에 출자·출연기관 설립 승인도 얻을 계획이다.

김두관 지사 시절인 2012년 평생교육진흥원 설립이 추진되었지만 중단됐다. 당시엔 경남도의 보조금으로 운영될 수밖에 없었던 출연기관의 신설에 대해 사회적으로 회의적인 분위기가 많았던 사정도 있다. 그러나 평생교육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나 환경이 변하였다고 단정적으로 볼 수 있는 이유는 분명하다. 현재 경남에 평생교육기관 수는 1537개이고, 문해·학력보완·직업능력·문화예술·인문교양·시민참여교육 등과 같은 교육프로그램의 수는 1만 1383개에 이른다. 그러나 10년 전인 2009년엔 407개의 기관과 6420개의 프로그램이었다. 평생교육 관련 기관이나 프로그램의 수가 10년 만에 2~3배나 늘어난 셈이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평생교육 관련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기관이 경남에도 있어야 한다는 말이 나올 수밖에 없다. 또한 전국 17개 광역지자체 중 이미 9곳에 평생교육 관련 기관이 설립되어 있다는 사실도 고려해야 한다.

급격하게 진행하고 있는 인구구조의 변화와 고령화 현상을 더 이상 먼 산의 구경거리 정도로 바라볼 수는 없다. 물론 학력격차에 시달리는 인구가 과거에 비해 줄어들었다고 볼 수도 있지만, 평생교육은 정규교육과정과는 그 성격이 전혀 다르다. 평생교육은 단순한 학력충족이 아니라 일반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정보제공과 지식 교육의 체계화를 위한 교육제도의 확장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교육 연수가 정해진 의무교육이 아니라 시민들의 평생에 걸쳐 진행되는 생애교육의 성격도 있다. 쉽게 말해 평생교육은 단순한 취미 교육의 의미가 아니라 시대의 변화를 체계적으로 전달하는 교육으로 봐야 한다. 특히 시간이 갈수록 늘어나는 노령인구들을 대상으로 한 평생교육은 기존의 교육과는 전혀 다른 공적인 사회서비스의 일종으로 보아야 한다. 물론 거주지역이나 소득 정도에 따라 평생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역시 달라질 수는 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평생교육을 시장에서 이루어지는 거래처럼 방치하기보다는 경남평생교육의 내용을 만드는 역할은 있어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