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엠 경영진은 창원공장의 생산성 하락과 물량 변동을 이유로 오는 10월부터 현행 2교대제를 1교대제로 바꾸자는 요구를 하고 있다. 물론 노조는 일자리 축소와 대량 실직을 우려하면서 이 제안을 거부하고 있다고 한다.

한국지엠 경영진은 자동차 판매부진을 이유로 생산방식의 변화를 추구하고 얼마든지 요구할 수 있다. 하지만 한국지엠에선 이런 변화가 노동자들의 대량해고와 실직으로 이어진 전례가 있어 노조의 걱정을 지나친 걱정이나 염려로 일축하기도 어렵다. 군산에선 이미 생산공장이 폐쇄되었고 부평에선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대량해고가 실제로 일어났기 때문이다. 물론 기업은 현재 고용하고 있는 생산인력의 절반만 가동할 만큼 생산물량이 감소하였기 때문에 불가피한 조치라고 주장할 수는 있다. 또 자신들의 현재 처지가 어려워서 더는 잉여인력을 안고 가기 어렵다고 말할 수도 있다. 그러나 기업 스스로가 하는 주장만이 아니라 기업을 감싸고 있는 사회적 환경도 고려할 줄 알아야 한다.

특히 한국지엠은 지난해 정부로부터 8100억 원의 지원을 약속받았다. 창원공장에서 현재와 같은 고용을 유지하기 위해 CUV(크로스오버 차량) 신차 생산라인을 창원공장에 투입한다는 약속은 도대체 어찌 되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정부지원금을 확약받기 전과 후가 이렇게 차이가 나는 마당에 기업이 마땅히 져야 할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초적인 인식이나 하고 있는지 의문스러울 따름이다.

기업이 필요할 때마다 주장이나 목소리가 달라진다면 기업에 대한 신뢰 역시 흔들릴 수밖에 없다. 비정규직 해고자들을 우선 복직시키겠다는 약속을 지키지 않으면서 현재 사정이 어려우니 절반의 노동자들은 잠깐 일손을 놓아달라는 말은 사실 대량해고로밖에 보이지 않는다. 이런 마당에 오히려 노조는 경영진에게 최종적인 목적이나 의도가 무엇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한국지엠에 정부지원금의 투입 결정을 두고 던져진 궁극적인 질문은 지엠이 한국에서 앞으로도 자동차를 생산할 것인가 하는 점이었다. 호주에서 보조금을 받고선 공장 문을 닫은 지엠의 전력을 고려한 것이다. 지금도 이 질문이 여전히 유효해 보인다. 오히려 한국지엠에 대한 사회적 신뢰가 낮아질수록 한국지엠의 경영환경 역시 열악해질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반드시 유념해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