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만 2000명 서울서 집회
정규직과 차별해소 요구
도내 280개 학교 대체급식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3일부터 총파업을 하며 거리로 나섰다. 이에 따라 경남지역 단설유치원, 초·중·고, 특수학교 등 공립학교 857곳 중 280곳이 대체급식, 8곳이 단축 수업을 했다.

전국의 학교비정규직 노동자들은 파업 첫날인 3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열린 집회에 참가했다. 이들은 △정부 임기 내 공정임금제 실현 △교육공무직제 법적 근거 마련과 제대로 된 정규직 전환 △단체교섭 제도 개선과 정부의 적극적 역할 등을 요구했다. 공정임금제는 중소기업과 대기업, 정규직과 비정규직 노동자 등의 임금격차를 줄여 80% 수준까지 임금을 올려달라는 것이다.

▲ 3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학교비정규직(교육공무직) 총파업대회에서 참가자들이 비정규직 철폐를 촉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 3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학교비정규직(교육공무직) 총파업대회에서 참가자들이 비정규직 철폐를 촉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학교 비정규직들은 최저임금법 산입 범위 확대로 불이익을 주지 않기로 한 정부 약속도 지키라고 했다. 올해 최저임금법 개정으로 복리후생비 중 일부가 최저임금 산입범위에 포함되면서 최저임금 인상 효과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최저임금(174만 5150원)에서 복리후생비(교통비 6만 원, 식대 13만 원) 19만 원 중 최저임금의 7%(12만 2160원)를 뺀 6만 7840원을 산입범위에 넣으면 그만큼 임금 인상 폭이 줄어든다.

특히 정규직 대비 임금총액(기본급·수당총액)은 연차가 올라갈수록 격차가 커지고 있다며 임금차별 해소를 요구하고 있다.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자료를 보면 9급 공무원과 비정규직(조리실무사 등 상시근무자) 노동자 10년 차를 비교했을 때 정규직의 72.9% 수준의 임금을 받고 있다.

전국연대회의는 임금차별 해소를 위해 기본급을 최저임금 이상으로 인상하고, 정규직 호봉제와 근속 차별을 없애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근속수당에 대해서는 4만 원으로 인상하고, 연차에 따라 가산금을 추가 지급하자고 제안했다. 더불어 명절휴가비, 정기상여금, 맞춤형 복지포인트도 정규직과 동일하게 적용해달라고 했다.

경남연대회의는 3500여 명이 3일 서울 집회에 참가했다고 밝혔다. 경남연대회의는 4·5일 도교육청 앞에서 총파업대회를 이어갈 계획이다.

도교육청은 파업 첫날 857개 공립학교에서 급식, 돌봄 관련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 1877명이 파업에 참여한 것으로 집계했다. 280개 학교에서 빵·우유(148곳), 도시락(109곳), 기타(23곳) 등 대체급식을 했고, 8곳은 단축수업을 했다. 초등돌봄과 유치원 방과후 학교는 정상 운영됐다. 교육부는 파업 첫날 전국 국공립 학교 1만 585곳에서 2만 2004명이 파업에 참여했다고 밝혔다.

교육희망경남학부모회는 이날 도교육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학교 비정규직 파업 지지와 함께 정부와 도교육청에 적극적인 해결에 나서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정당한 권리를 위해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파업이라는 어려운 결단을 내렸다. 당장에 아이들과 학부모들이 불편할 것이라 짐작하면서도 어떤 마음으로 파업이라는 선택을 했는지 학부모들은 헤아려본다. 이분들 역시 누군가의 아버지, 어머니"라고 했다.

또, "우리 아이들이 살아갈 세상은 비정규직 없는 세상이기를 바란다. 다른 사람의 권리를 인정할 때 우리 권리도 인정받을 수 있고, 나의 소소한 불편이 누군가의 권리를 가로막지 않는 관용을 우리 아이들이 배울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희망한다"고 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