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 이용자 감소세 뚜렷
적자노선 늘어 보전 부담
서비스 주체 분명히 나눠
사고·불편민원 감소 효과

울산시는 7월 1일부터 모든 시내버스 노선을 공동배차제에서 '개별노선제'로 전환한다. 준공영제 도입 없이 개별노선제로 전환한 지방자치단체로는 울산시가 전국에서 유일하다. 이에 따라 지난 1982년부터 시행해온 공동배차제는 37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시내버스 수송분담률 '뚝' = 울산시 인구는 창원시처럼 2016년 117만 2304명, 2017년 116만 5132명, 2018년 115만 5623명으로 줄고 있다. 반면 승용차 등록대수는 2016년 44만 8945대, 2017년 45만 9672대, 2018년 46만 8283대로 늘고 있다.

울산시 역시 시내버스 이용자가 감소세다. 1일 이용자는 2016년 29만 5000명, 2017년 28만 명, 2018년 26만 6000명으로 줄었다. 시내버스 수송분담률은 2006년 20.6%에서 2016년 15.7%로 떨어졌고, 승용차 수송분담률은 35.7%에서 43.7%까지 올라갔다.

해마다 승객이 감소해 운송수입금은 줄어들었지만 운전사 임금과 연료비 상승에 따라 운송원가는 올랐다. 적자를 보이는 노선은 점차 늘어 2018년 12월 기준 162개 노선 중 1개를 제외하고 수익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

울산시는 적자를 기록한 노선에 매달 보전해왔는데, 보전 비율은 매년 증가해 지난해 89%까지 다다랐다. 적자 보전액 증가에 따라 시내버스에 들어간 재정 지원액은 2016년 264억 원, 2017년 373억 원, 2018년 527억 원까지 급증했다. 지난해 지원액 중 적자 노선 지원에 311억 원, 환승 손실보전에 162억 원, 벽지노선 손실보전 등에 54억 원이 들어갔다.

◇서비스 주체 불분명한 공동배차제 = 울산지역에는 2018년 12월 기준 23개 업체(시내버스 8, 지선버스 7, 마을버스 8)가 162개 노선에 버스 875대를 운행하고 있다. 이 중 시내버스 5개사(울산여객·한성교통·남성여객·학성버스·신도여객)가 대형 시내버스 노선 36개, 중형 시내버스 노선 26개, 직행좌석 노선 5개를 공동으로 배차해왔다.

울산시는 공동배차제 단점에 주목했다. 시와 울산시버스운송사업조합은 △도로 환경 변화에 따른 운전사 배차시간 부족 △시민 이용불편 해소를 위한 운행시간과 횟수 변경, 경로 변경, 기종점 연장·단축, 노선 신설·폐지를 해왔지만 1개 노선을 여러 업체가 맡아 운행하다보니 서비스 질을 향상하는 성과를 내지 못한다고 봤다.

시가 모든 적자 노선을 보전해주지만 경영 개선을 하려는 업체의 노력은 부족해 배차시간 미준수, 과속, 난폭운전 등 시민 불편은 해결되지 않았다. 이에 울산시는 2010년부터 노선별 전담업체를 지정하는 개별노선제를 도입하고자 했다. 운행 주체를 확실히 정해 업체가 원가절감 등 경영과 서비스 질을 함께 개선하도록 해야 한다는 목적이었다.

▲ 울산시는 1일부터 모든 시내버스 노선을 '개별노선제'로 전환환다. 울산 남구 시청 앞 정류장 모습. /류민기 기자
▲ 울산시는 1일부터 모든 시내버스 노선을 '개별노선제'로 전환환다. 울산 남구 시청 앞 정류장 모습. /류민기 기자
▲ 울산시는 1일부터 모든 시내버스 노선을 '개별노선제'로 전환환다. 울산 울주군 청량읍 율리공영차고지 모습. /류민기 기자
▲ 울산시는 1일부터 모든 시내버스 노선을 '개별노선제'로 전환환다. 울산 울주군 청량읍 율리공영차고지 모습. /류민기 기자

◇개별노선제 사고율·민원 감소 = 울산시와 시내버스 업체는 개별노선제 도입을 논의하면서 △적자 보전 비율 △노선 배분과 관련해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노선별 운송수입금과 운송원가가 다른 상황에서 보전 비율에 따라 지원금이 달라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었다. 매출과 직결되는 만큼 업체 간 노선을 나누는 과정에서도 의견차를 좁히기 어려웠다.

그러다 지난해 사정이 달라졌다. 적자 보전 비율이 89%까지 다다른 가운데 시가 강력하게 개별노선제 도입을 추진했다. 시는 올해 1월부터 중형 시내버스 노선 26개를 개별노선제로 운영하라고 5개사에 개선명령을 내렸다. 주 52시간제 도입에 따른 경영 부담이 가중된 상황에서 업체도 배차시간과 운행 횟수 조정 등에 용이한 개별노선제를 마다할 이유가 없었다. 수익금 편차를 최소화하되 '소규모 업체를 배려한다'는 틀에서 업체 간 노선을 배분했다.

개별노선제 전환에 따른 효과가 나타났다. 첫 번째는 사고율 감소다. 5개 중 3개 업체의 사고율은 줄었다. 올해 1월 1일부터 6월 27일까지 5개 업체 평균 사고율은 35.2%(계약대수 577대, 사고건수 203건)로 지난해 같은 기간 36.7%(계약 570대, 사고 209건)보다 1.5%p 줄었다. 이 중 한 업체의 사고율은 지난해 51%(계약 100대, 사고 51건)에서 올해 37.25%(계약 102대, 사고 38건)로 13.75%p나 감소했다.

개별노선제로 바꾼 26개 노선에 대한 민원도 지난 1~5월 67건에서 올해 34건으로 49.3%(33건) 줄었다. 유형별로 보면 '불친절'이 지난해 15건에서 올해 2건, '무정차 통과'는 23건에서 14건, '배차시간 미준수'는 15건에서 8건으로 감소했다.

◇"공무원 전문성·의지로 이끌어" = 울산시는 7월 1일부터 대형 시내버스 36개, 직행좌석 5개 등 모든 노선을 개별노선제로 전환했다.

시는 공동배차를 해왔던 5개 업체가 모든 노선을 각각 지정해 맡음에 따라 시내버스 서비스를 획기적으로 끌어올릴 토대를 마련했다고 보고 있다.

울산시 교통건설국 버스택시과 김경식 버스운영담당 주무관은 "현재 노선운영 업무를 총괄하는 사무관이 30년간 공무원 생활하면서 20년간 노선 업무를 맡았다. 저 또한 2005년 전문임기제로 채용돼 노선 업무를 맡아오고 있다"며 "업무 담당자들이 시내버스 전반에 대해 꿰뚫고 있는 가운데 업무 총괄자가 의지를 가지고 치고 나간 덕에 업체에 끌려 다니지 않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시는 노선·운행 구간별 요일·시간대에 따른 운행시간과 수요를 분석해 배차시간 등을 짜고 차량 간 운행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반기에 용역을 의뢰할 예정이다. 이는 '대중교통 중심 도시 울산 실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개별노선제라는 판에서 배차 계획을 새로 세우겠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