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 권력에 걸맞은 책임 외면하고
뉴스편향성 앞에 뒷짐만 진 네이버

대선 후보 지지율을 좌지우지하는 것, 국회의원의 과거 범죄 정황을 사회 이슈로 부각함으로써 그를 단죄하는 것, 속칭 '지라시'에 담긴 연예인과 기업인 스캔들을 국민들이 사실처럼 여기도록 만드는 것, 특정 지역축제에 관광객이 몰리거나 혹은 몰리지 않도록 하는 것, 심지어 사람 하나 살릴 수도 또 죽일 수도 있는 것…. tvN 드라마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WWW>는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 나아가 포털 사이트의 힘과 더불어 그에 따른 책임을 이런 예시로 보여준다. 이 힘이 어디에서 나오는지, 작품 기획의도는 이렇게 썼다. '10대부터 60대까지 검색을 안 해 본 사람은 없다. 포털에 접속하지 않는 사람은 없다.'

우리는 포털 메인화면에 어떤 광고가 등장하는지,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에 무엇이 올라오는지, 어떤 뉴스를 맨 위에 배치해놓았는지를 보고 최신 이슈와 여론을 파악한다. 그 자체로 포털은 거대한 권력이다. 특정 포털이 시장을 독점하다시피 하고 있는 상황이라면 더 말할 것도 없다. 그런데 여기에 사리사욕을 지키거나 확대하려는 목적의 조작이 가해진다면?

이런 의혹은 현실에서도 오래전부터 꾸준히 제기됐다. 시끌벅적한 이슈가 있는데도 실시간 검색어에 등장조차 하지 않거나 반대로 연관검색어가 한꺼번에 사라지거나, 관련 기사가 숱하게 쏟아져도 뉴스 메인화면에 단 한 번도 걸리지 않는 등 이해할 수 없는 현상이 실제로 계속 발생하는 탓이다. 더구나 포털이 공개해놓았다는 자체 기준은 모호하고 지나치게 포괄적이어서 편의적으로 악용될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을 받는다. 실제로 2016년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 검증위원회는 포털이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뿐만 아니라 자동완성, 연관검색어에 하루 수천 건씩 인위적으로 개입해 제거하고 있으며, 대학이나 기업 요청을 받고 해당 키워드를 제외해준 사례도 있다는 보고서를 내놓기도 했다.

'세상을 편집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포털이 이제는 뉴스에서 지역을 빼버렸다. 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으로 다시 도마에 오르자 사용자가 직접 구독 언론사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모바일을 개편하겠다던 네이버는 선택지에 단 44개의 언론사만을 올려놨다. 서울을 기반으로 한 언론과 전문 매체뿐이다. 지역언론은 단 한 곳도 포함되지 않았다. 애초 선정한 기준 자체가 지역언론은 맞추기 어려운 조건이라는 비판이 일었지만 무시됐고 네이버는 이제 책임을 미루고 있다.

네이버의 이런 행태가 왜 위험한지는 최근의 사례에서도 쉽게 드러난다. 현대중공업이 주주총회를 열고 물적분할을 결정한 지난달 말, 노조 반대 배경과 지역주민 우려를 담은 울산언론과 달리 서울언론은 불법·폭력 시위, 시민피해를 강조한 극한 대치 상황만을 기사로 쏟아냈다. 부산∼헬싱키 직항 항공노선이 생긴다는 소식에 조선일보는 느닷없다고 비판하며 다른 항공사들의 반발을 주로 다뤘고, 지역주민의 환영과 그간의 불편함은 쏙 빼 부산언론의 항의를 받았다.

이런 편향성 앞에, 네이버는 뒷짐 짐으로써 그들에게 확성기를 대어 주고 있는 셈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