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단체들이 석탄발전에 투자하는 은행에 자치단체와 교육청의 금고 지정을 하지 말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전기를 얻는 수단 중 하나인 석탄발전은 우리나라 대기 오염의 큰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되어 왔다. 하지만 석탄발전은 원자력과 함께 우리나라 발전 설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여전히 높은 상태이다. 환경단체들의 촉구는 미래 청정에너지로 향한 상징성뿐만 아니라 직접적 영향을 미칠 수도 있는 대전환을 끌어낼 수도 있다는 점에서 시민사회가 힘을 보태야 한다.

미래 청정에너지로의 전환은 국가적 과제로 등장한 지 오래다. 중국발 미세먼지가 절대적으로 많다는 연구들이 나오고 있지만 내 집 앞마당을 방치한 채 이웃을 탓하고 나무랄 수는 없다. 우리나라가 먼저 청정에너지로 대전환을 해야 중국의 책임을 묻고 따질 수가 있다. 특히 수도권 미세먼지의 국내 발생 원인 중 상당량이 석탄발전소에서 발생한다. 석탄발전소를 그냥 두고서는 국가 간 분쟁에서 큰소리를 칠 수가 없다.

환경단체들은 석탄발전에 투자하는 은행에 자치단체·교육청 곳간 열쇠를 맡기지 말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우리나라 은행 중 자치단체와 교육청 금고를 운영하는 곳은 12개로 대부분 은행이 금고 선정과정에서 치열한 경쟁을 한다. 시장 규모도 453조 원에 달한다. 은행들로서는 포기할 수 없는 시장이다. 그런데 이 중 10개 은행이 석탄발전소에 투자하고 있다. 환경단체들이 촉구한 대로 지자체와 교육청이 금고 선정과정에서 탈석탄 투자를 선언하고 이행하는 은행을 적극적으로 우대할 경우 시장에 미치는 여파는 상당할 것이다. 돈줄이 끊기거나 은행 투자가 없으면 석탄발전소들의 타격은 불 보듯 뻔한 것이며 차후 석탄발전소 설립 자체를 막을 수도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정부의 탈원전 계획이 후퇴하고 있으며 LNG발전과 태양광 발전 등도 또 다른 유해성 논란과 정치적 이유 등으로 치열한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하지만 대체재 논쟁이 불가피하더라도 탈석탄 발전은 미래를 위해서 더는 미룰 수 없는 우리시대의 과제임이 분명하다. 환경단체들만의 탈석탄이 아니라 시민사회가 모두 탈석탄으로 가는 길에 함께해야 하는 이유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