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원의 수준이 그 사회의 질을 결정한다는 것은 상식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여교사를 성추행하고 학교발전기금 모금 과정에서 교사들에게 폭언을 해 물의를 빚었던 창원대원초교 윤모(58)교장이 직위해제 된 사건은 우리에게 많은 점을 시사해 준다. 이 사건이 문제가 되자 30여개 시민사회단체가 발빠르게 대책위원회를 구성하여, 교장의 처벌을 촉구하고 나선 것도 이례적인 일이지만 도교육청도 교장을 직위 해제하는 등 신속하게 처리한 것은 좋은 선례를 남겼다.
우리사회는 직장 안에서 일어나는 부정이나 비리는 드러내 개선하기보다는 감추어 주는 것을 ‘직장에 대한 사랑’으로 여겨왔다. 이번 창원대원초교의 경우, 상사의 잘못을 지적하는 것이 ‘누워서 침 뱉기’라는 잘못된 인식을 깨고 문제를 해결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지금까지 학교가 변하지 않는 이유도 교사들의 이러한 정서가 변하지 않기 때문이었다. 무릇 직장의 발전은 그 사회 구성원의 신뢰나 도덕성에서 출발해야 한다. 경영자의 권위주의적인 운영이나 남녀차별의식이 청산되지 않는 한 교육의 질적 발전은 불가능하다. 오늘날 교육개혁이 지지부진한 이유도 이러한 잘못된 관행에서 탈피하지 못하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학교는 달라져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학교사회에 남아 있는 잘못된 ‘학교사랑’의 봉건성에서 과감하게 탈피해야 한다. 교육개혁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사들의 올바른 교직관과 확고한 교육철학이 있어야 한다. 비판을 수용하지 못하는 개인은 물론 사회도 변화나 개혁을 기대할 수 없다. 좋은 학교란 잘못된 관행에서 벗어나 구성원 간의 신뢰와 상호존중의 바탕 위에서 가능한 일이다. 자신이 소속된 학교 내부 일에 대해서는 무조건 덮어두거나 침묵하는 것이 직장사랑이라는 인식이 바뀌지 않는 한 교육다운 교육을 할 수 없다.
교육을 바로 세우겠다는 의지를 가진 교사라면 자신이 몸담고 있는 직장에 잔존하고 있는 내부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과감하게 나서야 한다. 잘못된 관행이나 모순을 개선하려는 사람이 문제교사로 낙인찍히는 분위기에서 학교는 달라지지 않는다. 창원대원초교의 사건도 학교 교육을 바로 세워야겠다는 교사들의 의지가 없었다면 쉽사리 해결될리 없었다. ‘교육의 질은 학교의 구성원인 교사들의 수준만큼 가능하다’는 것이 이사건이 우리에게 남긴 교훈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