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부터 추진하고 있지만, 현재 난관에 봉착해 있는 '밀양 하남뿌리특화산업단지 프로젝트'를 되살리기 위해 경남도가 팔을 걷어붙이며 나서고 있다.

지난 5일 김경수 도지사는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만나 밀양 하남산단에서 '상생형 지역일자리 모델'을 만드는 걸 중앙정부 차원에서 지원해달라고 건의했다.

먼저 새로운 일자리창출 사업이 하남 산단 조성에서부터 시작될 수도 있다고 김경수 지사는 믿는 것으로 보인다. 물론 이런 믿음이 잘못되었다고 일방적으로 폄훼해서는 곤란하다. 현재 진해 마천에 있는 주물단지의 상태와 조건을 초현대적인 시설을 갖춘 공장으로 탈바꿈할 경우 새로운 일자리 창출은 얼마든지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하남 주물단지 조성사업이 난관에 부딪히는 이유는 이른바 환경에 해를 끼치는 산업이라는 성격이 강한 주물업종에 대한 주민들의 반발이 가장 핵심이다. 지역상생을 위한 일자리라는 성격을 이해하지 못해서가 아니라 환경에 끼칠 피해를 줄이거나 최소화하는 직접적이고 가시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하남산단 조성사업이 10년이 넘도록 표류하다시피 하면서 최근 들어 입주 포기기업이 속출하는 이유도 바로 이런 지역주민과의 갈등으로 사업이 장기화하면서 비용이 늘어난 이유도 한몫하고 있다.

다른 산단 조성사업처럼 일반적인 인프라와 부대시설을 경남도가 직접 나서서 만들겠다는 정도로 과연 이 사업이 성공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들기도 한다. 결론적으로 말해 먼저 이야기해야 할 핵심을 감추어 둔 채 사업이 성공하기를 기대하는 건 정말 말이 되지 않는다.

지역주민들의 반대가 이미 존재하고 있기에 노사민정이라는 회의 단위에서 해결책을 찾아보자고 할 수는 있다. 부족한 재원을 충당하기 위해 중앙정부의 사업에 경남도가 거드는 형태로 사업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런 형식이나 꼴이 틀렸다는 게 아니라 노사민정협의회에서 다루어야 할 내용이 먼저 구체적으로 나와야 한다. 갈등과 분쟁의 의제를 회피하면서 지역형 일자리 창출사업과 같은 말로 호도해선 곤란하다. 바로 이 사실을 중심에 놓고 지자체, 기업 그리고 지역사회가 머리를 맞대어 해결책을 찾으려고 노력할 경우 하남산단 조성사업은 성공할 수가 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