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째 법정관리가 진행 중인 성동조선해양에 대해 7일 세 번째 매각 예비입찰이 개시되었다. 현재 세 곳의 투자자들이 예비입찰에 참여하여 인수의향서를 제출함에 따라 이번에는 본입찰이 추진될 수 있을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본입찰은 우선협상대상자가 선정되는 13일부터이며 법원이 정한 매각 기간은 10월 18일이다. 이번에도 매각에 실패한다면 성동조선의 회생 가능성은 더 희박해질 것이라는 점에서 회사를 살릴 수 있는 사실상 마지막 기회다.

성동조선은 그동안 두 차례 매각이 추진되었지만, 처음엔 인수희망자가 없었고 분할매각이 허용된 두 번째는 인수를 희망한 업체들은 있었지만 3000억 원대로 예상되는 자금조달능력이 증빙되지 않아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이 무산되었다. 이번에도 관건은 인수희망 업체들의 자금 능력이 될 것이다. 물론 인수기업이 정해진다고 하더라도 기업이 정상화하기까지 산 넘어 산이다.

이 와중에 보수언론들은 채권단에 자금 지원을 압박하는 성동조선 노조를 비판하는 데 골몰하고 있다. 그러나 성동조선 노동자들은 회사의 몰락에 아무런 책임이 없음에도 회사가 채권단의 관리를 받은 2010년부터 숱한 구조조정을 거치며 희생을 전적으로 감당해 왔다. 일터를 어떻게든 살리겠다는 노동자들을 비난할 일이 아니다. 대형 조선소들의 경영 여건이 조금씩 개선되는 것과 달리, 2017년 11월 이후 수주 실적이 전혀 없는 성동조선은 경제논리로만 따지면 막대한 공적자금 지원 대신 파산 절차를 밟는 것이 불가피할지 모른다. 그러나 성동조선 노동자와 가족들, 연관기업들과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을 생각하면 기업을 살리겠다는 것을 정치논리로 치부할 수는 없다.

문재인 대통령은 대선에서 성동조선 등 중형 조선소를 살리겠다고 한 공약을 실행해야 할 때다. 성동조선의 회생, 조선 기업 실직 노동자들의 재취업과 고용 안정을 지원하는 것은 정치논리가 아니라 국민의 생존권을 보호하는 차원일 뿐이다. 지난해 성동조선 노사와 상생협약을 체결한 경남도도 구조조정을 하지 않는 대가로 무급휴직을 수용했던 노동자 생계 지원에 힘써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