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우고 묻는 일도 과부하…쓰레기 양 줄이기 급선무
소각, 부피 줄여도 오염 유발
매립, 국토 이용법 제한 행위
혐오시설 인식에 증설 어려워
발생억제 단계부터 실천 중요
재사용·재활용 효율성 높여야

수거차에 실린 쓰레기 처리 끝은 어디일까? 눈앞에 안 보이면 그 쓰레기는 과연 사라지는 것일까? 재활용되지 않는 쓰레기의 최종 처리는 '매립'이다. 땅에 묻는 것이다.

과학·기술 발달은 모순되게도 환경 오염을 늘리기도 하고, 오염을 줄이는 쓰레기 처리 기술에도 영향을 미쳤다. 산처럼 쌓인 쓰레기와 침출수(쓰레기 따위의 폐기물이 썩어 흘러나오는 물) 악취와 오염은 소각 시설·연소가스 냉각 설비·매립 처리기술 발달로 해결되고 있다. 일단 눈에 보이지 않게 말이다. 하지만, 많은 화학 처리 단계를 거치고 필터를 통해 걸러진 공기와 물은 되돌아온다.

▲ /그래픽 서동진 기자 sdj1976@

◇경남 한 해 43만t 소각 = 소각은 계속 늘어나는 쓰레기를 좁은 국토에서 처리하기에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여겨진다. 쓰레기를 태워 부피를 줄일 수는 있지만 그에 못지않은 환경 오염도 뒤따른다. 소각 과정에서 먼지·황산화물·질소산화물·염화수소·일산화수소는 물론 맹독성 발암물질 다이옥신, 중금속 등이 배출된다.

자원순환정보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2017년 기준 경남에는 15개 시·군에 17개 소각시설(창원 3개, 진주시·남해군·의령군 없음)을 운영하고 있다. 이들 시설은 하루 24시간 가동되는데, 한 해 42만 9153t(2017년 기준)을 태웠다.

창원시 성산자원회수시설은 종량제 봉투에 담긴 일반 쓰레기와 재활용센터에서 재활용 분류를 거쳐 나온 가연성 쓰레기, 하수 찌꺼기를 소각하고 있다. 하루 평균 320t 쓰레기를 태운다. 이곳은 환경오염 방지 시설을 탄탄하게 갖추고 있다. △질소산화물 저감설비(요소를 소각로 내에 직접 분사해 질소산화물을 질소 성분과 물로 분해해 제거) △반건식 반응탑(소각 과정에서 발생하는 황산화물, 염화수소 등 제거) △활성탄 주입설비(연소가스에 함유된 독성 유기화합물질을 제거하고자 활성탄을 분사하는 설비) △백필터(밀폐된 사각상자에 여과포를 설치해 연소가스 분진과 가스를 분리해 가스를 대기 중으로 방출하는 설비) 등이다.

연소 가스를 대기오염물질 배출허용기준 이하로 처리하는데, 중앙제어실에서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건물 입구 옥외전광판에 공개하고 있다. 기준치 이하로 배출된다는 의미다.

소각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열(스팀)은 공장동 냉·난방과 음식물 퇴비화·건조·살균 등에 사용하고, 남은 폐열은 인근 산업단지 기업체 5개사에 판매해 연 세외 수익 50억 원을 내고 있다.

◇남은 매립지 46%뿐 = 소각과정을 거치면 재가 남는다. 중금속·유독성화합합성물 등이 포함된 재는 '특정폐기물'이다. 소각은 쓰레기 중간 처리 과정이고, 최종 처리 과정은 '매립'이다.

도내 매립장은 18개 시·군에 27개소. 총매립지 면적은 204만 9254㎡로 축구장 면적의 287배다. 2017년 기준 잔여매립 가능량은 46.2%(1100만 7043㎥)다. 지역에 따라 편차가 있다. 매립장이 2곳인 거창군 잔여매립가능량은 각각 2.2%, 4.1%밖에 남지 않아 매립시설 3단계 조성 사업이 진행 중이다.

폐기물 처리시설 사용종료 시기(2017년 기준 잔여매립 가능량 20.4%)가 다가온 남해군은 새로운 시설 조성을 위해 후보지를 공모하고 있다. 남해군은 매립시설이 들어설 마을에 100억 원을 지원하고 매립 사업종료 때까지 마을운영비·건강검진비 등 매년 2억 원, 지역개발사업비 매년 2억 원 등 인센티브를 제공할 계획이다.

창원시 성산구 천선동에 있는 생활폐기물매립장은 소각재(58.4%)가 주로 반입되는 곳이다. 이곳은 잔여용량이 42.8%로 사업종료 시기는 2060년이다. 1992년 만들어진 천선매립장은 2005년을 기점으로 소각장이 늘고 소각재와 불가연성 쓰레기만 매립하고 있어 사업종료 시기는 더 늘어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2005년부터 음식물 직매립이 금지됐다.

천선매립장에서 발생하는 침출수는 하루 평균 158t이다. 예전에는 자체 처리 과정을 거쳐 하천으로 내보내졌지만, 지금은 1차 약품 처리 후 지하 관을 통해 덕동하수종말처리장으로 보내진다.

▲ 창원 재활용종합단지 내 쓰레기 소각장 상황실에서 시민들과 노창섭 시의원이 담당자의 설명을 듣고 있다. /박일호 기자 iris15@idomin.com

▲ 지난달 24일 환경단체와 시민사회단체 관계자, 전홍표 창원시의원 등이 창원시 성산구 천선동 생활폐기물매립장을 방문했다. 참석자들이 침출수 처리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김구연 기자 sajin@idomin.com
◇시설 증설, 갈등 일으켜 = 쓰레기 소각·매립장은 주민 혐오시설 중 하나다. 시민의 환경인식이 높아지면서 소각·매립지 확보는 어려워지고 있다. 매립장을 늘리는 것은 국토 이용 방법을 제한하는 행위이기도 하다.

창원시 환경위생과 관계자는 "창원시 인구는 감소하는데, 소각 쓰레기양은 증가하고 있다. 택배·배달 문화 발달로 쓰레기 발생량 자체가 늘었고, 재활용 분리배출이 제대로 안 돼 소각되는 쓰레기가 늘어 과부하가 발생한다. 쓰레기 발생량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최근 제주도에서 소각시설 과부하로 쓰레기를 직매립하는 문제도 발생했다. 제주시 봉개동 북부광역소각장과 압축 쓰레기 생산시설이 포화상태가 되자, 소각 처리해야 할 서귀포시의 생활 쓰레기가 대량으로 매립됐다. 하루 동안 서귀포시 읍·면 매립장 3곳에 반입되는 가연성 쓰레기는 10∼20t에 이른다. 태울 수 없어 땅에 묻지만 그만큼 매립장 포화도 앞당겨지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종량제봉투에 음식물쓰레기가 섞여 배출되는 경우가 많아 침출수 문제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매립이 불량하면 쓰레기 분해과정에서 쓰레기 사이에 틈이 발생해 지반 붕괴로 이어져 안전사고도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소각장 광역화(김해·창원)사업도 지역 갈등을 유발하고 있다. 김해시는 874억 원(국·도비 612억 원)을 들여 하루 300t(김해 250t·창원 50t)을 처리할 수 있게 2022년까지 소각장 증설사업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이에 김해 장유주민들은 반발하고 있다. 양산지역에서도 북정동 주민들은 현대화사업과 동시에 폐기물 소각장 처리 용량을 늘리는 폐기물처리업체 계획을 반대하고 있다.

소각·매립은 눈앞의 문제를 해결할 뿐, 쓰레기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다. 쓰레기의 발생 억제→재사용 →재활용→소각→매립의 단계적 실천이 필요하다. 발생 억제·재사용·재활용 등 단계에서 효율성을 높이면서 소각장·매립장 증설 계획이 세워져야 한다. 잘 쓰고 잘 담자. 쓰담쓰담.

※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