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주민 동의 없어 안돼"
경남도와 취수원 다변화 협의
진주 환경단체 "긍정적 변화"

부산시가 진주 남강댐 물 확보정책을 공식적으로 포기하면서 25년을 끌어온 '남강댐물 부산 공급 논란'이 종식될 전망이다.

다만, 부산시가 경남과 협의해 대안이 될 수 있는 다른 취수원을 찾겠다고 밝혀 귀추가 주목된다.

오거돈 부산시장은 지난 5일 '제24회 환경의 날'을 맞아 낙동강 하굿둑 개방과 물 정책 관련 입장문을 발표했다. 오 시장은 입장문에서 "민선 7기 부산과 경남은 경계를 넘어선 협력을 이어오고 있다. 물 문제 또한 예외일 수 없다"면서 "이제 남강댐 물은 경남도와 지역 주민이 동의하지 않는 한 요구하지 않겠다"고 말하고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를 통해 기본 수질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오 시장은 "취수원을 다양화하더라도 낙동강의 오염원 관리와 수질 개선정책은 원칙을 지키며 지속해서 추진하겠다"며 "이를 위해 지역 간 협의와 협력에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덧붙였다.

부산시 관계자도 "남강댐 주변에 이미 아파트가 들어서는 등 주거시설이 많아 주민 동의 없이는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오 시장 발언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부산에 남강댐물을 줄 수 없다는 경남의 정서가 여전히 견고한 상황에서 부산에서 계속 남강댐물을 달라고 하면 물 문제 해결책을 영영 찾을 수 없다"면서도 "다른 취수원을 찾기 위해 부산시와 경남도의 정무라인 선에서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부에서는 "부산시가 남강댐물 이외의 취수원에 대해 말을 아끼고 있지만, 남강 하류와 황강 하류가 유력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이에 대해 이환문 진주환경운동연합 공동의장은 "(부산시의)입장 변화는 긍정적"이라고 평가하면서도 "투트랙 전략은 근본적 해결방안이 되기 어렵고, 새로운 취수대상 지역과 사회적 갈등과 논란을 초래할 수밖에 없을 것이기 때문에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한편, 그동안 부산과 경남은 남강댐물 부산공급을 두고 오랫동안 갈등을 빚었다. 1991년 낙동강 페놀 사태가 터진 뒤 국토부가 1994년 남강댐물 50만㎥와 합천댐물 50만㎥ 공급계획을 발표하면서 갈등이 시작됐다. 이후 남강댐 운영수위를 높인다는 소식에 '물폭탄을 이고 산다'는 불안감에 서부경남 주민들은 결사적으로 반대했다.

홍준표 전 경남지사 시절에는 상류에 댐을 짓는 상류댐(지리산댐) 논란까지 벌어지면서 논의는 한 발짝도 진전되지 못했다. 남강댐에서 물 공급이 곤란해지자 강변여과수 공급계획이 발표됐지만 용수부족 등을 이유로 경남주민들이 반발하자 제자리걸음을 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