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일 조규일 진주시장은 옛 진주역 재생프로젝트를 발표하였다. 경전선 구간의 핵심 역사였던 옛 진주역사를 더는 방치하지 말고 재개발하라는 지역주민들의 요구에 기초자치단체장이 응답하고 나선 셈이다. 진주역사 재생프로젝트의 첫째 관건은 재개발 청사진인 비전 제시다. 조규일 시장은 옛 진주역사 터에 국립진주박물관을 새로이 건립하면서 문화공간을 유치한다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재개발 전망과 방향을 분명히 하였다. 공적인 문화공간을 확충하여 지역주민들이 가지는 문화적 소외감과 갈등을 해소하겠다는 지자체장의 의지표명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일 이유는 없다. 이런 전망 제시에도 도시재생 프로젝트의 성사 여부는 사업비 충당과 확보를 의미하는 돈 문제에 있다. 기초지자체가 독자적으로 사업비를 마련할 수 있다면 사업은 얼마든지 진행할 수 있겠지만, 현재의 지방자치제 아래에선 불가능한 상상에 불과하다. 사업이 실질적으로 진행되려면 중앙정부와 상급 광역지자체인 경남도의 보조금과 지원금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 만약 지원금을 전제한 사전협의 과정을 밟지 않고 진주시가 일방적으로 발표부터 하였다면, 이 사업은 출발부터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현재의 지방자치제라는 부실한 제도에선 지자체장의 소속 정당을 떠난 협력과 협치가 일상적으로 존재할 수밖에 없다는 말이다.

현재의 중앙정치와 지역사회의 지방정치에 존재하는 구조는 확연히 다르다. 갈등과 분쟁을 극대화하여 자신들의 존재 기반을 확장하려는 여의도의 중앙정치 논리와 각계각층을 연결하고 협력해야 사업이 진행되는 지방의 정치 논법은 근본적으로 큰 차이가 존재한다. 정당 간 협치와 합의 존중이라는 정치문화가 지방정치에선 활발하게 작동할 수 있다는 점이다.

중앙정치판과 지방의 정치가 서로 대립하고 갈등할 이유는 없다. 그러나 지역사회가 조금이라도 개선되고 발전하려면 정파적 대립과 갈등이 아니라 사업을 진행하기 위한 협치와 합의가 선행되어야 한다. 바로 이런 공감대를 만들지 않은 채 진행되어온 지역사업들은 하나같이 실패라는 꼬리표만 달았다는 사실을 이젠 인정해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