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에 의한 대우조선 인수가 첫 단추를 끼웠다. 그러나 노조의 반대와 국내외 기업결합심사 등 넘어야 할 산이 한둘 아니다. 결론적으로 결과가 불투명하다. 어렵다는 걸 알면서 굳이 이 방법을 택하는 것은 결코 잘한다고 볼 수 없다. 하지만 대우조선은 공적자금 약 13조 원이 투입되고서도 기업환경이 전혀 나아지지 않았고 국내 조선업 회생을 위해서도 새로운 주인이 나타나야 한다는 고육지책 여론도 끊이지 않았다. 방산 등 기술유출의 문제와 경쟁력 제고를 고려하면 해외매각도 여의치 않은 현실에서 국내 조선사와의 통합은 기정사실로 굳어져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두 회사의 노조가 극렬히 반대하는 이유 또한 절실하다. 인수 과정을 살펴보면 노조의 의견은 거의 수용되지 않았다. 복잡하게 분사의 형태를 취하고 핵심은 서울에 두면서 인수로 발생할 부채는 고스란히 자회사가 되는 현대중공업이 떠안는 것은 상식적으로 이해할 수 없다. 노조의 우려대로 고용승계 여부도 믿기 어렵다. 통합의 시너지를 발휘하려면 구조조정은 불가피하다. 즉각적으로는 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언젠가는 할 것이라고 보는 게 상식이다. 경쟁력 제고도 문제다. 저가 수주 등으로 물의를 빚어온 대우조선이고 셋보다는 둘이 낫기에 합리적인 경쟁을 할 거라 추측할 수 있지만 바로 그것 때문에 경쟁국들이 반대할 수도 있다.

문제를 확대하는 것이라면 아니함만 못하다. 산업은행과 현대중공업은 자신이 있는 모양이지만 현재 상태는 미래를 예측하기 어렵다. 그런데도 이런 방식이 나온 것은 산업은행과 정부가 대우조선 해법에 대해 안일했거나 인수기업 논리에 지나치게 끌려갔을 수도 있다는 의심을 할 수밖에 없다.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 불가피한 조치라면 방식을 바꾸어야 한다. 노조를 끌어안지 못하면 국내외 기업결합심사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다. 조선업 침체는 종사원 모두를 힘들게 한다는 것을 양 노조도 잘 알고 있다. 함께 현 상황을 타개할 여지는 충분하다. 투명하게 과정을 공개하고 본사 이전과 고용승계 등 노조의 우려를 말끔히 해소해야 한다. 그러고서 협조를 얻어내야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미래로 나아갈 수 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