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활센터 토론회서 공감대
취·창업 사업과 연계 강조
심리·행동 프로그램 주문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이 스스로 살아가는 힘을 기르기 위한 자활사업과 관련해 앞으로는 '정서적 자활'이 중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특히 지난 4월 진주 방화·살인사건과 관련해 필요성이 더욱 강조됐다.

최상미 동국대 사회복지상담학과 교수는 29일 마산 3·15아트센터에서 열린 '자활지원체계와 건강한 지역공동체' 토론회에서 정서적 자활을 소개하며 도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그는 기존 자활사업이 경제적 안정에 목표를 두고 진행됐으나, 정서적 프로그램을 함께 진행했을 때 훨씬 더 궁극적인 자활 목표에 도달하기 쉽다고 했다. 토론회는 경남광역자활센터와 경남지역자활센터협회 주최·주관으로 열렸다.

지난 4월 진주 방화·살인사건과 관련해 지역자활센터 종사자들은 자활사업 참여자 대상 전문적 심리 치료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 바 있다. 피의자 안인득(42)도 지역자활센터에 의뢰돼 폭력 문제를 일으키기도 했다. 지역자활센터 종사자들은 가벼운 정신질환이나 알코올 중독 등으로 폭력 성향을 보이는 자활사업 참여자가 많다고 했다.

▲ 29일 마산 3·15아트센터에서 열린 경남광역자활센터, 경남지역자활센터협회 주최·주관 '자활지원체계와 건강한 지역공동체' 토론회 참가자들이 발언을 하고 있다. /김희곤 기자

이날 심혜정 김해지역자활센터 과장은 토론에서 "최근 정신미약 참여자가 늘고 있어 사례관리자가 다뤄야할 문제가 복잡해지고 있다"며 "정서적 안정을 위해 개별화된 사례 관리와 체계적인 교육 과정이 필요하다"고 했다.

최상미 교수는 2016년 3월부터 2017년 4월까지 경기지역자활센터 18곳 참여자 180명을 대상으로 운영했던 정서적 자활프로그램을 근거로 필요성을 강조했다. 당시 경기지역에서는 자활사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자존감 회복 △스트레스 관리 △사회성 발달 △동기부여 등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최 교수는 "경기지역 정서적 자활 프로그램 운영 후 자기효능감·자아존중감·고용 희망·심리적 안녕감 등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과거 취·창업을 목표로만 설정했던 자활사업이 사회적 장벽을 극복하는 데 효과가 높지 않았다는 것은 현장 종사자도 잘 알고 있을 것"이라며 "경제적 목표를 최상위로 설정하되 참여자의 특성을 고려해 정서·행동적 프로그램을 단계적으로 적용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정서적 자활 프로그램은 주기적이고 지속적으로 진행해야 한다. 그래서 사회적·정서적·경제적 문제를 총괄하는 사례관리도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사례관리자의 처우개선과 정규직화 등도 뒤따라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염동문 창신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정서적 자활 중요성은 현장 종사자들이 피부로 느끼고 있던 것"이라며 "어떻게 해야 할까 문제로 이어진다. 우선 사례관리자 처우개선이 뒤따라야 한다"고 말했다.

권정택 경남도 복지고용담당은 "진주 방화·살인사건을 계기로 자활 종사자의 어려움을 알게 됐다"며 "앞으로 정서적 자활의 필요성을 공감하며 정책적으로 필요한 부분이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