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봉렬 경남대 역사학과 명예교수 마산YMCA 아침논단

김봉렬 경남대 역사학과 명예교수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대해 "3·1운동 이후 분화됐던 민족운동 노선의 통합체적 성격을 띄었지만 일치된 힘을 보이지 못하는 단점을 보였다"고 평가했다.

김 교수는 30일 마산YMCA 아침논단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수립과 의미'를 주제 강의에서 '3·1운동으로 설립된 역사상 첫 국민주권주의 공화주의 정부이며, 민족독립 열망의 총체적 결과물'이라고 정의했다. 더불어 절대독립론·독립준비론·외교독립론·사회주의운동론 등 분화된 민족운동 노선의 통합체적 성격을 띤다고 했다.

그러면서 국가기구로서 통합체적 역할을 해 일치된 힘을 보여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고 했다. 통치권을 행사할 대상인 국민과 연계돼 있지 않은 점이 한계였고, 한반도와 중국 만주·러시아 연해주에 거주한 때문이라고 했다.

20190430 아침논단.jpg
김봉렬 경남대 역사학과 명예교수가 30일 마산YMCA 아침논단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수립과 의미'를 주제로 강의하고 있다. /류민기 기자

김 교수는 "임시정부 활동은 부침의 연속이었다. 그래서 상징적 대표 기구라고도 한다"면서도 "상징적 기구라고 의미가 없다고 말하면 절대 안 된다. 한 집안의 가장인 아버지가 부침이 있을 수 있고, 상징적인 존재일 수도 있지만 그래도 아버지는 있어야 한다. 그게 임시정부의 의미"라고 말했다.

임시정부는 수립 초기 간도·연해주를 중심으로 한 독립전쟁을 통괄 지휘했다. 해외 독립운동 조직과 연계해 활동을 펼치고, 연통제 활동과 함께 국내 지방을 조직해 독립운동 자금을 모금했다. 국제회의에 참가하고 국제연맹에 가입하려는 등 외교활동을 펼쳤다.

김 교수는 "임시정부가 영토·국민이 존재하지 않는 곳에 있다 보니 독립전쟁 노선이 약화했다"며 "재정 문제에 정쟁·파쟁이 심화한 데다 1923년 열린 국민대표회의마저 결렬돼 독립운동의 일개 지부로 전락했다"고 말했다.

임시정부는 충칭에 터를 잡은 1940년부터 활동을 재기했다. 한국독립당·한국광복군을 설립해 정·당·군 삼위일체를 달성했다. 김 교수는 "임시정부는 상징적인 기구이자 통치력을 행사하기 곤란한 등 한계도 있었지만 역사상 첫 국민주권주의 정부이자 민족 독립을 통괄하는 기구였다"고 설명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