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경남본부 보고서 통해 제안
성장둔화 원인 '청년유출'지적
고령화 등 사회변화 점검 주문

"경남 경제가 다시 성장하기 위해서는 젊은 노동력을 확보해야 한다."

한국은행 경남본부가 29일 '경남경제의 잠재성장률 추정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제안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경남 경제 성장률은 1990년대 10% 이상으로 국내 전체 성장률을 이끄는 수준이었다. 그러다 2000년대 들어서 5%대로 떨어졌고, 2010년 이후에는 1%대까지 하락했다. 그리고 2016~2020년 평균 잠재성장률도 1%대에 머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경남이 국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09년 7.0%에서 2016년 6.2%로 낮아졌다.

경남 산업구조는 제조·서비스업 중심이다. 지난 2016년 기준으로 제조업이 44.8%, 서비스업이 44.3%였고, 기타 10.9%였다.

비슷한 산업구조의 타 지역과 비교하면, 경남 성장 둔화는 더 와닿는다.

보고서는 경제성장률을 2001~2005년, 2006~2010년, 2011~2016년으로 나눠 비교했다. 경남은 각각 5.5%, 5.1%, 1.2%로 하락세를 나타냈다. 반면 충북은 3.5%, 5.1%, 5.2%로 상승세를 나타냈다. 충남은 8.3%, 6.5%, 5.0%로 하락세를 나타냈지만, 여전히 높은 수치를 이어갔다.

보고서는 이러한 경남 경제 둔화 원인을 노동·자본 부문으로 나눠 분석했다.

우선 '노동'은 젊은 층 인구 감소를 들었다. 즉, 그동안 지역경제 중추적 역할을 했던 25~34세 인구가 역외 유출 등으로 줄었고, 이는 '노동 생산성 저하' '산업 간 노동수급 불균형'으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자본'은 투자 감소를 들었다. 즉 '기계·조선 등 주력산업 부진' '외국인 투자 유치 저조' 등으로 자본축적도 둔화했고, 이는 곧 성장률 저조로 연결됐다는 것이다. 특히 투자 감소 이유 가운데 하나로 금융권 책임도 거론했다. 도내 은행 등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보수적 대출을 이어가면서 기업 자금 확보 어려움을 가중했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이 밖에 경남 경제 성장 둔화 원인으로 △연구개발 및 혁신 역량 부족 △산업집적 효과 미흡 △서비스산업 발전 정체 △각종 규제 및 지식재산권 보호 취약 △금융중개 기능 약화 등을 꼽았다.

보고서는 결국 앞으로 성장 동력도 이러한 문제점 개선에서 찾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구체적으로 △생산 공정 고도화, 고부가가치 상품 생산을 위한 투자 집중 △기업 R&D센터 유치 및 양질의 연구개발 인력 양성 △고부가가치 서비스업 육성 △불필요한 규제 완화 △맞춤형 금융 정책 개발 등이다.

특히 '청년층 역외 유출 방지'를 재차 강조했는데, 경제적 차원에서 정책 마련을 주문했다.

한국은행 경남본부 관계자는 "경남은 조선·기계 산업 등 제조업 중심으로 성장해 왔지만 최근 주력 산업 부진으로 성장률이 급격히 둔화했다"며 "경제 구조적 문제, 그리고 인구 고령화 등의 사회 구조적 변화를 함께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