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이지 않고 제값받는 '바른 정비' 움직임

추석을 앞두고 차량 점검은 필수다. 정비소 간판이 자주 눈에 띄지만 '종합정비업소', '1급 정비업소', '공업사', '카센터' 등 종류가 많다.

정비업소는 어떻게 나뉘며 가벼운 점검을 받고 싶을 때 가야 하는 곳과 대형사고가 났을 때 가야 하는 곳, 엔진오일 등 소모품을 교체할 때 가야 하는 곳은 어디일까?

◇종합·소형·부분·원동기 정비업소

정비업소는 총 네 가지로 구분되는데 먼저 종합정비업소, 1급 정비업소는 '자동차종합정비업소(이하 종합정비업소)'를 뜻하는 말로 정비사업소라고도 한다. 공업사는 2급 정비업소, 정비공장과 같은 말로 '소형자동차정비업소(이하 소형정비업소)'를 가리킨다. 마지막으로 카센터는 3급 정비업소로 '자동차부분정비업소(이하 부분정비업소)'이다. 이 밖에도 4급 정비업소를 말하는 '원동기전문정비업소(원동기정비업소)'도 있다.

이는 자동차관리법에 따라 분류한 것으로 효율적으로 자동차를 관리하고 성능·안전을 확보하고자 자동차관리법 제36조와 동법시행규칙 제62조에 자동차 사용자 작업범위가 규정돼 있다.

종합정비업소는 모든 종류 자동차에 대한 점검과 정비, 구조물과 장치에 대한 변경 작업이 가능하다. 소형정비업소는 모든 승용차와 경·소형 승합차, 경·소형 화물차, 경·소형 특수차를 정비할 수 있다. 부분정비업소는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일명 '카센터'로 클러치, 변속기, 차축, 조향핸들 등 일부 제한적인 경정비만 가능하다. 특히 자동차 장치나 구조 변경, 판금, 용접 등 특수 자격은 엄격히 금지하고 있다. 원동기정비업소는 자동차 엔진 재생과 관련된 작업만 가능하다. 정리하면 종합정비업소에서는 엔진오일교체부터 구조 변경까지 모든 자동차 관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고 소형, 부분, 원동기로 갈수록 서비스가 제한된다.

도내 정비업소 단체로는 종합·소형 정비업소 단체인 자동차검사정비사업조합연합회 경남조합과 부분정비업소 단체인 한국자동차전문정비사업조합연합회(Carpos) 경남조합, 경남제일자동차전문정비협동조합이 있다.

◇도내 종합정비업소 김해 최다

도에 자동차정비업으로 등록된 업체는 총 2680개로 5년 전인 2009년보다 98개 늘었다. 종합정비업소는 40곳이 늘었고 소형정비업소는 17곳, 부분정비업소는 8곳, 원동기정비업소는 3곳 늘었다.

도내에서 정비업체가 가장 많은 곳은 창원시로 종합정비업소(58개), 소형정비업소(62개), 부분정비업소(601개), 원동기정비업소(3개)를 합쳐 724개다. 다음은 김해시(541개), 진주시(309개), 양산시(224개), 거제시(124개) 등이 뒤를 이었다. 그러나 규모와 작업범위가 가장 넓은 종합정비업소는 김해시가 63개로 창원시보다 5곳 많았다. 이는 경남과 부산 출입구 역할을 하는 김해시 특성상 화물차 이동량이 많은 것 때문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화물차량 등록대수와 운수업체 수는 창원시가 2배가량 많았다.

군으로 갈수록 종합·소형 정비업소는 급격하게 줄었다. 종합정비업소는 함안군(16개)을 제외하고 모두 10곳 미만이다. 특히 거창·합천군은 소형정비업소가 없었으며 남해·산청·함양 소형정비업소는 각 1곳에 불과했다. 그러나 부분정비업소는 종합·소형 정비업소 수와 관계없이 많았다. 부분정비업소는 함안군이 60곳으로 가장 많았고 창녕군(57개), 하동군(42개), 거창군(41개) 순이다.

◇허가제 이후 업체 난립 문제

대부분 정비업소는 자동차정비업이 등록제로 전환된 이후 업체가 난립하면서 일감 감소, 인력난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488154_372429_5139.jpg

지난 1996년 허가제였던 자동차정비업이 등록제 전환 후 진입이 쉬워졌다. 이에 정비업소에서 일하던 전문 기술자들이 하나 둘 개인 정비업소를 차리면서 업체는 늘어나고 정비업소에서 일할 기술자들은 줄어들었다. 이후 젊은이들이 자동차정비업을 3D 업종이라고 기피하면서 기술을 잊는 이들이 줄었고 이들을 잡고자 정비업소는 경쟁을 해야 했다. 실제로 도내 대학에 자동차학과가 있지만 대부분 보험사 보상과 쪽으로 취업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 최근 초저금리로 대출부담이 줄자 업체 수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특히 정상적인 정비업소뿐 아니라 제대로 시설을 갖추지 않은 불법 정비업소(덴트칼라)로도 인력이 유출되고 있다.

보험사 미선수리비도 큰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지난 3월 '거제 람보르기니' 사건을 떠올려보자. 당시 람보르기니 스포츠카를 국내 승용차라 들이받은 사고로 알려졌지만 조사 결과 가해자와 피해자가 보험사로부터 미선수리비를 받고자 벌인 자작극으로 드러났다. 미선수리비란 피보험자 또는 피해자가 사고 등으로 손상된 차량에 대해 수리를 하지 않고 예상되는 수리비 또는 견적을 받아 이를 토대로 보험사에서 보험금을 직접 받는 방법을 말한다.

이는 수령자 편의를 위해 시행됐지만 미선수리비로 불법 정비업소에서 싼 가격에 수리를 하고 차액을 취하는 등 악용돼 정당하게 자격요건을 갖추고 차량을 수리하는 정비업소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

◇바른 정비로 업체-소비자 '윈윈'

자동차검사정비사업조합연합회는 정비업소 총량제를 제안하고 있다. 조합 측은 현재 자동차 수보다 정비업체가 많아 벌어지는 일감 감소, 인력난, 경쟁 등을 해소하고자 자동차 수에 적정한 정비업소 개수를 정해 진입을 제한한다는 주장이다.

창원시자동차정비사업자협의회 강인구 회장은 정비업소 피해는 결국 소비자 피해로 이어진다며 '바른 정비'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불법 정비업소가 성행해 정상 정비업소 일감이 줄면 비용을 줄이고자 불법을 저지르게 되고 결국 소비자들이 받는 서비스 질만 나빠질 것"이라며 "정기적인 불법 업소 단속과 소비자를 속이지 않고 적정한 가격을 받는 바른 정비만이 모두가 살길"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창원 협의회 회원 45개 업소는 바른 정비에 동참하겠다고 서명하고 불법하청업체 없애기 등 바른 정비에 앞장서고 있다.

그는 또 "해외에는 이미 사물인터넷을 활용해 기본 정보만 입력하면 자동차가 알아서 주행하는 자율주행 자동차가 나왔다"며 "앞으로 10년 안에 50% 이상 물량이 줄어들 텐데 이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