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속 경남-경남 스포츠인]통영 출신 축구인 김호

통영 사람들은 지역 대표 스포츠인으로 김호(71) 축구 감독을 꼽는 데 주저하지 않는다.

국가대표 수비수로 활약했던 김 감독은 현역 은퇴 이후 명장으로 더 날렸다. 김호 감독 하면 사령탑을 맡았던 1994년 미국 월드컵 이야기를 빼놓을 수 없다. 서정원의 극적인 골로 스페인전 2-2 무승부, 꼭 잡아야 했던 볼리비아전 0-0 무승부, 전차 군단을 진땀 흘리게 했던 독일전 2-3 패…. 비록 2무 1패로 16강 진출에는 실패했지만, 강렬한 기억을 남겼다.

김 감독은 수원삼성·대전시티즌 등 프로팀을 이끌다 지난 2009년 고향 통영으로 돌아왔다. 꿈나무들과 시간을 보내기 위해서다. 그리고 얼마 전 경기도 용인축구센터 총감독을 맡으며 또 다른 인재 육성에 힘을 쏟고 있다.

1944년 통영 도천동에서 태어난 김호 감독은 통영두룡초-통영중학교를 나왔다.

통영 출신 김호 감독은 최근까지 고향에서 인재 육성에 힘을 쏟다가 지금은 경기도 용인축구센터 총감독으로 또 다른 도전을 하고 있다. 용인축구센터 내 전시관에서 옛 월드컵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는 김 감독. /남석형 기자

"1954년 아시안게임 축구 결승에서 한국이 대만에 져 준우승을 했어요. 그때 라디오중계를 들었는데 너무 화가 났어요. 내가 축구선수가 되겠다고 생각한 거죠. 훗날 국가대표가 되어 그 당시 뛰었던 대만 선수들과 직접 경기를 하기도 했죠."

어릴 적 집안은 경제적 여유가 있었다고 한다. 때로는 그의 집이 운동부 합숙소로 이용되기도 했다고 한다.

초·중학교 시절에는 빼어난 공격수로 활약했다. 지금도 통영두룡초 교장실에는 그가 활약하던 시절 우승기가 보관돼 있다고 한다. 그는 고등학교 때부터 타지 생활을 했다.

"통영중 졸업 후 갈 곳이 없어서 1년간 쉬었어요. 그러다 부산동래고를 나온 통영 분이 추천을 해서 그 학교에 들어가게 된 거죠. 중학교까지 공격수였다가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수비를 맡게 됐습니다."

김 감독은 1960~70년대 초 10여 년간 국가대표로 활약했다. 이 당시 국가대표팀에는 경상도 출신이 많았다고 한다. 지난 2013년 지역 출신 김호·이차만·조광래·박창선이 한 자리에 모였다. 이들은 옛 시절을 회고하며 '1970년대 국가대표팀 절반은 경상도 선수였다. 경상도 사투리가 곧 표준어였다'고 했다. 김 감독은 이러한 물꼬를 튼 사람 중 한 명이다.

"통영 출신 중에서 처음 국가대표에 뽑힌 사람은 최귀인이었고, 그 다음에 제가 들어갔습니다. 이후에는 부산동래고 출신이 많았습니다. 김호곤·박영태·강병찬, 그 밑으로 박성화·임태주 이런 친구들입니다. 저희 때는 부산지역 고등학교 출신이 꽃을 피웠다고 할 수 있죠. 이후에는 통영 출신들도 중동고 등 서울로 많이 갔어요. 고재욱·김종부가 그렇죠."

통영에서 유독 많은 축구인이 배출된 이유를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

"나라가 가난한 시절이었지만 통영은 어장이 풍부해 먹고살 만했죠. 생선은 늘 먹을 수 있어 체질적으로 강해지는 데 좀 도움 된 것 같습니다. 일본을 오가며 사업하는 이들도 많았는데, 이런 분들이 인재 육성에 도움을 줬죠. 형편 어려운 아이들에게는 유니폼 지원 같은 것도 해주고요."

김 감독이 고향에 돌아온 것도 봉사를 위해서다. 어릴 때 마땅한 지도자가 없어 어려움을 겪은 기억이 있기에, 유소년 가르치는 일을 5년 넘게 했다. 하지만 아쉬움은 있는 듯하다. 고향을 다시 떠나 용인으로 간 것과 같은 맥락이다.

"여기 온 지 얼마 되지 않았지만, 밑에서부터 인재를 다변화해서 육성하려는 의지와 시스템이 잘 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경남은 무엇을 하자는 말은 무성한데 실제 연결되는 것은 부족한 것 같아요."

그러면서 애증이 교차하는 말을 덧붙였다.

"누군가는 '당신이 지역을 위해 한 것이 뭐냐'고 말하기도 합니다. 스포츠인들은 자신뿐만 아니라 고향을 마음속에 품고 그 명예를 위해 더 열심히 하기도 합니다. 사업·돈 같은 것에만 가치를 두는 것 같아 안타까운 마음이 들 때가 있습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