떠돌고 정착하는 우리네 삶바닷물 섞인 섬진강과 닮아

강가에 사는 바다 사나이

하동포구에서 보면 섬진강은 이미 강이 아니다. 오랜 골재 채취로 모래가 사라진 자리를 바닷물이 치고 들어와 채웠다. 그래서일까. 하동포구 공원 앞 조그만 어선 선착장에서 만난 황 씨 할아버지(76)는 얼핏 바다 사나이 같기도 했다.

"전에는 여기를 걸어서 강을 건너다니고 그랬어요. 지금은 수심이 한 2m 50㎝ 정도 되겠네. 바닷물이 많이 들어오면 보통 3m 정도는 돼요. 사리 때는 4m까지 올라가요. 여기가 다 재첩 생산지라. 근데 바닷물이 올라오면서 재첩 생산지도 계속 강 위쪽으로 올라가요. 요즘 재첩은 해감(바닷물 찌꺼기)을 많이 빼요. 원래 갯물이 50%, 민물이 50% 정도 돼야 하는데 지금 여기(하동포구)는 갯물이 70% 정도 돼요. 그전에 여기 재첩 말도 못하게 많았어요. 물이 너무 짜니까 많이 죽어요."

객지 사람 품은 하동포구

고향을 묻자 할아버지는 담배 한 대를 꺼내 물었다. 신장과 콩팥이 안 좋아 고생을 한다면서도 담배는 끊지 못하겠단다. 오랜 객지 생활이 남긴 버릇이다.

"고향은 이북이래요. 6·25 때 넘어와서 서울·인천 전국에 안 다닌 데가 없어요. 예전에 '하동 장비'란 말이 있었는데, 부산에서 여기(하동포구)까지 장비가 다닐 때 여기로 왔어요. 박정희 시절 병역 기피자 잡으러 다닐 때 피해서 도망왔어요. 결국은 잡혔지요. 잡혀서 두서너 달 유치장에 있었지. 그러고 여기서 결혼도 하고 정착을 했지. 여기서 결혼을 해도 인천 가서 외국 가는 배를 많이 탔어요. 원양 화물선이요."

황 씨 할아버지에게 섬진강은 아내의 고향이자 이제 자신의 고향이기도 하다.

고향 그리고 재첩 잡이

외국을 떠돌던 그에게 돌아올 곳은 하동뿐이었다. 할아버지에게 하동은 아내의 고향이자 이제 자신의 고향이기도 하다.

"나이가 들어 그 일을 더 못해서 하동으로 왔어요. 하동 와서는 바로 재첩을 채취했어요. 배는 큰 거 하나 가지고 있었는데 작년 가을에 팔았어요. 나이도 많고 그래서 것도 더 못하겠더라고. 요즘 뭐하냐면, 강 위에 하얗게 부표 떠 있죠? 부표 저쪽이 전라도고 이쪽이 경상도예요. 그거 설치하고 관리하는 일을 내가 책임지고 있어요. 요즘은 재첩이 돈이 되니까 잘 못하면 칼부림 나요. 날이 더 따뜻해지면 밤에 여기서(선착장 컨테이너) 자면서 도둑놈 지키고 그래요. 밤에도 지켜야 해요. 안 그러면 다른 배가 와서 몰래 재첩 긁어가고 그래요. 잠 못 자요. 밤에 서너 번을 순찰해요. 밥도 여기서 해먹고."

전라남도 광양시에서 하동을 마주하고 바라본섬진강. /남석형 기자 nam@idomin.com

말씨까지 똑 닮은 이웃 동네

경상도와 전라도가 섞인 하동, 민물과 바닷물이 섞인 섬진강은 고향도 객지의 구분도 섞여버린 황 씨 할아버지의 삶을 닮았다.

"전라도 사람들, 광양 사람들이 하동 장을 자주 봐요. 장날 가면 전라도 사람이 더 많아요. 우리는 늘 들으니까 잘 모르는데. 모느는 사람 오면 전부 전라도 말씨라. 나도 가끔 부산에 가면 사람들이 나보고 전라도 말씨라 그러지 경상도 말씨라고 안 그래요. 하동에 친척이라곤 전혀 없어요. 명절 때가 제일 외롭지요. 하늘만 쳐다보고 있어요. 이산가족 찾기도 해봤는데, 못 찾았어요. 그래도 살다 보니까 하동에 정착을 했고 여기서 내 인생을 마감하겠지요. 다 그리 저리 살아가는 겁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