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속 경남-마산 씨름]과거보다 실업팀 증가 등 나아진 환경에도 침체 여전…"유소년부터 키워야"쓴소리도

"씨름이 침체기인데 어떻게 하면 나아질까요?"

이런 질문에 대다수 씨름인들은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알려진 것과 다르다고 주장한다.

"2012년 프로야구 포스트 시즌 중 동시간대에 장사씨름대회가 열렸어요. 당시 프로야구는 SBS에서 중계하고 씨름은 KBS에서 했는데, 씨름 시청률이 프로야구 시청률보다 높았죠. 명절 씨름대회는 평균 시청률이 6~7%까지 나옵니다. 프로배구나 프로농구에 비하면 월등한 수치죠. 프로씨름이 위축되긴 했지만 절대 침체기 아닙니다." 성석윤 대한씨름협회 사무국장의 주장이다.

실제 대한씨름협회에 등록한 팀 수(32개 팀)만 보더라도 '씨름이 침체기'란 표현은 어울리지 않는다.

경남대 모제욱 감독도 "전성기라고 했던 과거 80년대보다 씨름 환경은 더 나아졌습니다. 실업팀이 많아졌기 때문이죠. 타 종목에 비해 처우도 괜찮고, 갈 수 있는 팀도 많아졌습니다."

마산중 심우현 감독이 일찍 은퇴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나 이창훈 선수가 7년 공백기를 가질 수밖에 없었던 것도 당시 갈 수 있는 팀이 없었기 때문이다.

갈 수 있는 팀이 많아졌다는 것만으로 과거보다 환경이 좋아진 것은 명백하다. 박종일 선수가 현역을 유지할 수 있었던 이유도 실업팀이 꾸준히 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마산 씨름이 침체기인데 어떻게 하면 나아질까요?"라고 묻는다면 대부분 표정이 복잡해진다. 자신 있게 '아니'라고 할 수 없는 분위기다. 그렇다고 침체기를 인정하기도 애매하다. 이유는 씨름판이 평준화했기 때문이다. 지역 간 평준화가 상대적으로 마산 씨름의 '하락'을 불러온 것이다. 그래서 지금 마산 씨름은 과제를 안고 있다.

"마산 씨름이 강했기 때문에 시설이 노후화했다. 무슨 말이냐면 신생팀의 경우 좋은 인프라를 갖출 수밖에 없다. 하지만 마산은 과거 전성기 당시의 투자 이후 오랜 시간이 흘렀다. 노후화한 시설을 재정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배희욱 경상남도체육회 사무국장은 지역 기업이 적극성을 보일 것을 주문한다. "과거 하이트맥주가 김성률 교수에게 실업팀 창단을 제안한 적이 있습니다. 지역의 중견 기업들이 씨름단을 창단해 마산 씨름을 살려야 합니다."

익명의 씨름계 한 관계자는 쓴 소리도 마다하지 않았다. 그는 "이만기, 강호동 같은 스타들이 예능에 나와 자기 밥벌이를 위해 씨름을 이용하려고만 한다. 차범근, 박찬호를 봐라. 유소년부터 키운다."

마산 씨름, '제2의 전성기'가 아니라 '제2의 투자'를 통해 '창원 씨름'으로 거듭나야 할 시점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