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반죽, 사위는 국물, 딸·마누라·아들 친절 담당”

화정식당

화정식당은 시장 안에서 하는 소바집으로 김선화(59)·이종선(60) 부부와 큰딸 나영씨 부부, 아들 동환(30) 씨, 친척 최춘선 씨 등 온 가족이 함께 일하고 있다. 좁은 골목 하나를 사이에 두고 본점과 별채가 있다.

“30년 전에 지은 걸 며칠 전에 리모델링을 끝냈어예. ‘의령소바’가 하도 유명하니 외지 사람들이 많이 찾고 젊은 사람들도 많이 오는데 아무래도 요새 사람들 취향에 맞춰야지예. 딸이 그래야 한다꼬 막 밀어붙이데예. 딸이 같이 하니까 우리 할 때하고는 다르데예.”

이종선(60) 아지매는 친정이 진주시 대곡면 가정리다. 그래서 가정띠기라고 했다.

/권영란 기자

종선 아지매는 처음에는 시장 난전에다 좌판을 깔아놓고 혼자서 시작했다.

“1979년인가 국수장사를 시작했는데, 그때는 시장 건물이 없고 장옥만 있었지예. 솥을 걸고 비니루 치고 팔 걷어 부치고 시작했는데 그 시절엔 국수가 한 그릇 20원이었어예. 처음에는 흰 국수로 했는데 한 달 동안 사람들한테 공짜로 주었어예. 울 아저씨는 화정 집에서 농사짓고. 그때가 국수 한 다발이 20원 할 때였나…. 나중에 울 아저씨가 같이 하면서부터는 직접 반죽을 해서 손으로 기계 돌려서 면을 뽑았지예. 한 10년쯤 지나서 집에 메밀을 심었는데 그때부터 메밀국수를 했어예.”

/권영란 기자

의령소바는 워낙 소문이 나 집집마다 장사가 잘 된다. 화정식당도 “여름에는 말할 것도 없이 장사가 잘 되고 평소에는 장날 토·일요일이 비교적 잘 된다”고 했다. 겨울은 아무래도 좀 뜸하다고 했지만 일요일이라 그런지 식당 안은 발 딛을 곳이 없었다.

“메밀은 군에서 농가에 지원해서 메밀을 심게 하는데 그걸 우리가 받기도 하고 물량이 모자라면 시장 상인들 한테 사기도 해예. 군에서 5500원, 시장은 7000원에 사지예. 다른 데는 모르것고 ‘의령소바’하고 우리는 군에서 지원한 걸 많이 하지예. 추수철에 500만원 씩 사서 저장창고에다 보관해서 사용하지예.”

의령소바는 메밀국수라고 할 수 있다. 차갑게 먹기보다 온면이 맛있다. 따뜻한 국물과 김가루, 야채, 양념을 살짝 얹은 것이다. 메밀비빔면도 비빔국수와 비슷했다.

/권영란 기자

“메밀소바는 반죽과 국물이 좌우합니다. 반죽은 100% 메밀이 아니라예. 메밀은 점성이 없어서 밀가루와 섞어서 사용해야 하지예. 하루 전에 미리 반죽을 해서 숙성을 해놓습니다.”

메밀과 밀가루 비율, 반죽 시간 등이 면의 식감이나 맛을 좌우한다. 거기에다 국물 낼 때 사용하는 멸치가 중요하다고 했다. 화정식당에서는 좋은 것을 사기 위해 삼천포에 가서 한 번 살 때 100~200만원어치 반건조 된 것 사온다. 그걸 다시 건조기에 말려서 냉장실에 보관한다.

“반죽은 하루에 한 포 정도, 멸치는 하루에 보통 2박스씩 사용하지예. 아끼지 않고 써야 국물 맛이 제대로 나는 기라예.”

화정식당 메밀국수는 5000원이다. 가격을 올리면 정작 시장에 오는 시골 사람들이 사먹지를 못한다는 게 이들 김선화·이종선 부부의 말이다.

/권영란 기자

“시장에는 싸고 맛있어야 합니다. 너무 인심이 야박하몬 오기가 싫다아입니꺼.”

화정식당에서 유독 눈에 띄는 것은 본채 밖 골목에 내놓은 따끈한 찻통이다. 20리터가 넘을까. 화정식당에서는 시장에 드나드는 누구든 먹을 수 있도록 매일 아침 문을 열기 전에 찻통부터 내놓는다고 했다.

“화정에 2000평정도 되는 농장이 있는데 거기서 나는 것들을 매일 새벽 장작불을 피워 가마솥에다 3시간 정도 푹 고우지예. 오미자 헛개 칡 홍화씨 메밀 구지뽕 해바라기씨 감초 등 한 10가지는 될 기라예. 시장 상인들이나 장보러 오는 사람들이 먹습니다. 여름에는 가마솥에 끓여서 식으면 얼음을 넣어서 시원하게 해놓지예. 인자 사람들이 다 알고 있으니까 오다가다 마시고해서 한 통 모자랄 때도 있습니다.” 

/권영란 기자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