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빠지기 전 채취 작업 마쳐야…쉴틈 없이 허리 구부려

한참을 기다렸다.

물은 조용히 흘렀고, 사람들은 말이 없었다. "스윽~, 스윽~" 뜰채가 모래 바닥을 긁는 소리, "차르르~" 재첩을 담는 소리만 가을햇살과 공명하고 있었다. 원래 계획은 이랬다.

1. 강가로 간다.

2. 옆에서 가만히 구경을 한다.

3. 채취하는 분이 나에게 말을 건다.

"거기서 뭐 하는교?"

4. 이런저런 대화를 하다 자연스럽게 제안한다.

"제가 한번 해봐도 될까요?"

5. "허허! 젊은 사람이 참. 이리와!"

6. 재첩채취 현장을 체험하고 기사를 쓴다.

그러나 아무도 말을 걸어주지 않았다. 아무래도 강가의 큰 돌 정도로 보인 모양이다. 이건 아니다 싶어 일단 물에 들어가기로 했다. 바지를 걷고, 강으로 들어가려는 순간 그때서야 누군가 말을 걸었다.

"맨발로 들어와!"

재첩 채취할 때 쓰이는 거랭이는 무거움 그 자체였다. /권범철 기자

강바닥은 부드러웠다. 편안했다. 적당히 시원했고, 깊지도 않았다. 맨발로 들어오라고 했던 이유는 신발이 필요 없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니까 내 행동을 유심히 관찰하고 있었던 것이다.

근처 하동읍 신기리에 사는 백 할머니(68)께 부탁해 드디어 거랭이(재첩 채취 도구)를 잡았다. "힘들 텐데" 하시며 건네 준 그것은 무거웠다. 전체를 쇠로 만든 것이다. 가운데 봉엔 채취한 재첩을 수집하는 대형 대야가 끈으로 연결돼 있다. 그 봉에 날개처럼 양쪽으로 달려 채와 연결된 부분이 손잡이다. 이것을 양 손으로 하나씩 잡고 뒷걸음을 하며 모래를 긁어야 한다. 너무 깊어도, 너무 얕아도 안 된다.

요령이 없어 채가 자꾸 모래 깊이 파고든다. 백 할머니는 약간 딱딱한 느낌이 나는 모래로 가라 하신다. 적당히 펄이 있는 곳이라야 재첩이 있다. 발이 앞서 가기 때문에 발바닥의 느낌으로 길을 찾는다.

10여 미터를 움직이면 봉을 지렛대처럼 두세 번 들어줘야 한다. 그러면 모래는 아래로 빠지고 채 안쪽으로 재첩이 모인다. 그 작업을 또 두세 번 반복해 소쿠리에 재첩을 붓고, 재첩과 재첩 아닌 것을 분리해서 고무대야에 담는다. 만만하게 볼 일이 아니었다. 금세 허리는 아파오고 말이 없어졌다. 강가의 구경꾼 따위에 관심이 갈 리가 없다.

허리도 펼 겸 여유를 부리자, 백 할머니는 조급해 하신다. 물이 빠지고 있기 때문이다. 채취한 재첩을 강 건너로 가져가야 하는데, 물이 빠지면 갈 수가 없다. 대야를 물에 띄워 옮겨야 강을 건너는 것이 가능하다. 노동의 무게를 강이 덜어주고 있는 것이다. 이 강물 없이 되는 일이 없다. 백 할머니는 오전 8시에 나와 물이 빠지기 전까지 작업하고, 오후에 나와 3시까지 작업한다. 이 힘든 작업도 먼 데서 봤을 땐 아름다운 풍경이겠지 싶다. 

관련기사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