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아까운 줄 모르고 사게 된다는 남해 바다의 자산을 찾아서…

한 해를 기다린 어부 손길이 바빠진다. "한 놈씩 올라온다." 올해도 어김없이 그놈이 찾아왔다. 성질이 아주 급하다. 그물에 걸려 올라오는 순간 죽기도 한다. 바닷물에서 나온 이후에는 이틀을 넘기지 못한다. 제아무리 좋은 수족관에서도 말이다. 그래서 살아있는 것 좋아하는 사람들로부터 외면당했던 적도 있다. 이제는 귀하디귀한 몸이다. 8∼9월 횟집 수족관은 온통 이놈들 차지다. 양식으로 자라는 호사도 누린다. 찬바람 불어야 사람들이 찾는다지만, 사실 산란기 지난 놈들은 8월이면 이미 살이 무르익는다. 기름기도 이미 잘잘 흐른다.

'돈 나가는 줄 모르고 사게 된다.'

'며느리 친정 간 사이 문 걸어 잠그고 먹는다.'

'집 나간 며느리도 굽는 냄새 맡으면 집에 돌아온다.'

'이것 대가리엔 참깨가 서 말.'

참 달라붙는 말이 많기도 하다.

하동·남해·사천·마산·진해, 전남 광양…. 이놈들을 잡을 수 있는 데는 여러 지역이다. 누구만의 것이 아닌, 남해안에 두루 걸쳐 있는 자산이다. 그 이름은 '전어'다.

/김구연 기자 sajin@idomin.com

전어는 배고픈 시절 물물교환용이었다. 여자들이 죽은 전어가 담긴 고무대야를 이고 나가서는 쌀·보리와 바꿔왔다. 수족관 보관, 유통 환경이 나아지면서 30여 전에야 활어가 조금씩 나왔다. '제철 전어를 꼭 맛봐야 한다'는 이들이 급격히 늘어난 건 2000년대 들어서다.

전어는 청어목 청어과 바닷물고기다. 전어(錢魚)는 '돈 전(錢)' 자를 사용한다. 조선 후기 생활과학서 성격을 지닌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에는 '소금에 절인 전어 맛이 좋아 양반이나 천민이나 돈 생각 않고 산다 해서 이름 붙여졌다'고 나와 있다. 이때 소금에 절인 전어는 오늘날 젓갈과 비슷한 것으로 해석된다.

주로 남해안에서 올라오던 난류성 전어가 해마다 수온이 오르면서 서해안으로 이동했고, 이제는 동해안에서도 잡힌다. 남해에서 만난 전어 횟집 주인 말이다.

"15년 전만 해도 서해에는 전어가 거의 없었어. 10년 전부터 본격적으로 잡기 시작했는데, 어구나 기술이 부족해 우리 남해안 사람들이 가서 가르쳐주고 그랬지."

전어 철은 남해안보다 서해안이 늦다. 그래서 '가을 전어'는 위쪽 지역에서 나온 말이라고 해석하는 이도 있다.

사천에서 만난 활어 차 기사는 "가을에 전어? 외지 사람들이나 찾지 우리는 잘 안 먹는다"고 말한다.

전어 산란기는 4~8월이다. 그 이후 체내 지방성분, 즉 기름기가 세 배 정도 많아지고 살도 통통히 오른다. 남해안 일대 기준으로는 8월 중순부터 회 맛이 오른다. 가을에 접어들면 기름기가 많아 회보다는 구이가 적격이다. 그런 면에서 회는 늦여름, 구이는 가을에 좀 더 어울리는 쪽이다.

/김구연 기자 sajin@idomin.com

전어 귀할 때는 양식전어가 등장한다. 양식 전어는 꼬리에서 특징을 나타내는데, 검은빛이 많이 돌며 거칠지 않고 잘 정돈된 느낌을 준다. 자연산 전어는 '하루살이 전어'라 불리기도 했다. 성질 급하고 스트레스를 잘 받아 수족관에서 하루를 버티기 힘들었기 때문이다. 지금은 활어차·수족관에 민물을 섞어 좀 더 길게 버티게 하는 등 환경이 좋아졌다. 그래도 48시간을 넘기지 못한다. 반면 양식 전어는 살던 환경과 비교적 차이가 적기에 수족관에서 좀 더 오래 산다. 그러다 보니 횟집 주인들은 양식 전어에게 눈길 주지 않을 수 없다 한다.

전어는 야행성이다. 전어잡이 배는 새벽에 나간다. 작은 배에서 주로 두어 명이 자망으로 잡는 것은 '따닥발이 전어', 큰 배에서 12~15명이 힘을 모으는 것은 '이수구리 전어'라 한다. 작은 배는 5~10분 거리 앞바다에 나가 잡아서는 곧장 활어 차에 넘긴다. 그물에 걸린 것을 털지 않고 손으로 떼니 상처도 덜하다. 씨알도 일정하다. 그래서 더 귀한 대접을 한다고 한다.

전어잡이하는 이들은 종종 변을 당하기도 한다. 그래서 '매해 사람 한둘 바다에 바치고 전어를 얻는다'는 말도 있다. '전어 굽는 고소한 냄새에 집 나간 며느리도 돌아온다'는 말이 있지만, 일본에서는 전어 굽는 냄새가 사람 타는 것과 비슷하다 하여 달갑지 않게 받아들인다고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