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창 본정통 옛 번화가, 다시 이야기를 만들다

야시골목 신희경(46) 아지매

‘야시골목’은 여성복 가게이다. 신희경 아지매는 거창시장 안에서 비교적 젊은 상인이다. 다른 데서 옷가게를 하다가 2년 전 시장 안으로 옮겼다.

“시장 안에 있지만 손님이 주로 젊은 층이고, 대부분 단골손님입니더. 경기가 안 좋지만 기본적인 인맥이 잘 있어 그나마 잘 되고 있는 편이지예.”

신희경 아지매는 시장노리패단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시장노리패는 타악기 그룹이고, 단원이 9명이다. 희경 아지매는 그 중에서 브라질타악을 한다.

“지난해 상인대학 교육장에서 배우기 시작했는데 재미있더라구요. 시장에서도 공연했고 지난해 시장박람회에서도 공연했습니다. 우리 상인들에게 새로운 경험이라예. 내가 즐거워야 장사도 즐겁게 할 수 있어예.”

거창전통시장-야시골목/사진 김구연 기자

시목상회 장업순(58) 아지매

“야채장수로 36년 세월입니더. 노점상 하다가 점포생활한 지 8년째라예. 여기가 은행이라 생각하고 매일 아침 나옵니더. 현금이 도니까. 작년부터 시장노리단원으로 활동하고 있는데 항아리 같이 생긴, 아프리카 스켈레라는 악기를 합니다. 그걸 하고는 장사하는 기 더 즐겁다아입니꺼.”

거창전통시장-시목상회/사진 김구연 기자

먹보왕만두 박종화·정은정 부부

외지에서 생활하다가 귀향 4년째인 젊은 부부는 사람들이 허기도 채우고 주전부리를 쉽게 할 수 있는 분식점을 하고 있다.

“나는 바람불면 신경질이 난다예. 먼지가 이니까예. 이기 다 배립니더.”

밖에 내놓은 빵과 음식들이 행여 먼지 탈까 봐 걱정이었다.

거창전통시장-먹보왕만두/사진 김구연 기자

성심세탁소 강기범(59) 아재와 김성복(55) 아지매

“40년 세월을 재봉틀 하나로 살아왔습니더. 오래 하다보니 해이해질 수도 있었는데 지난해 상인대학 후 마음가짐이 달라졌지예. 요즘은 세탁물은 줄어들고 리폼이나 수선이 많아 재봉틀 돌리는 일이 더 많습니더.”

거창전통시장-성심세탁소/사진 김구연 기자

거창미용실 김유자(56) 아지매

“평일에는 젊은 사람들이 주로 오고 장날에는 할머니들이 주로 마이 옵니다. 뽀글이파마를 해야니께. 일할 때 모자 눌러쓰니께 빨리 풀리니까 처음 할 때 세게 뽀글뽀글하는 거지예. 요즘은 50대만 되어도 요양보호사로 빠지지 들일은 70대가 하고 있습니더. 양파 마늘밭 일은 요즘 젊은 사람들이 견디질 못헌다쿱니더. 미용실은 농번기를 타지만 그래도 꾸준히 장사 됩니더.”

거창전통시장-거창미용실/사진 김구연 기자

우신상회 김경숙(60) 아지매

우신상회는 시장 중앙 네거리에 있는 반찬가게다.

“빨간 앞치마 착용은 번영회 회원이라면 의무라예. 흰 모자도 해야 허고예. 아무래도 소님들이 좋아허더라고예. 위생적으로 보이니께. 우리같은 반찬가게나 식당은 더 잘 지킬라헙니더.”

거창전통시장-우신상회 반찬/사진 김구연 기자

상동신발상회 조명순(82) 아지매

“결혼하기 전에 시아버지 때부터해서 50년은 되는 기라예. 당시는 장사가 잘 돼서 노다지였지예.” 조명순 아지매와 같은 거창초등학교 동창생이라며 가게 안에 앉아있던 아지매가 상동신발상회를 소개했다. 조명순 아지매는 되려 수줍게 웃기만 할 뿐이었다.

거창전통시장-상동신발상회/사진 김구연 기자

잡화 노점상 이재화 아재

시장 초입에서 잡화 장사를 하는 노점상 이재화 아재는 세일프라자 전동현 아재와 같은 말을 했다.

“35년째 하는 장사인데 그동안 몇 번이나 바꾸었는 지는 내도 모리겠습니더. 옷장사, 고기장사, 과일장사 등등. 우리겉헌 노점이야 점포상인과 달리 그때 잘 된다 싶은 게 있으모는 빨리 갈아탈 수가 있으니께네.”

이재화 아재는 지금은 거창 운양면에서 포도농사를 짓고 있다. 거창시장 장날만 장사를 하러 나왔다. 그나마 농번기에는 장날 장사도 할 수가 없다.

“장사가 해마다 틀리네예. 마트에는 오만 게 다 있으니 한꺼번에 다 살 수 있으니께 다 그쪽으로 가지예. 그래도 흔들림 없는 게 장사라예. 쪼매라도 현금이 잘 돌고.”

이재화 아재는 포도철에 산포리 삼거리농장으로 오라고 신신당부했다.

거창전통시장-이재화/사진 김구연 기자

“정년? 장사꾼은 그런 기 없으니 열심히만…”

왕자상회 김창석(63) 아재

건어물 가게였다. 이름만 듣고는 ‘왕자표 고무신’이 생각나서 신발가게인 줄 알았다.

“옛날식, 옛날 물건을 고집하는 편입니다.”

왕자상회는 건어물 중에서도 주로 폐백물건을 많이 취급한다.

“아직은 주문이 많습니다. 30년이 넘었는데 결혼 후 계속 했지예. 그
당시는 이기 돈이 되는 장사였습니다.”

거창시장이 분위기가 좋다고 하니 몇 년 전부터 상인들이 애를 많이 쓴다고 말했다.

“지난해 시장에서 한 상인대학에 다녔는데 참 도움이 되었습니다. 오랫동안 장사하면서 장사가 잘 되모는 경기가 좋은갑다, 장사가 안 되모는 경기가 안 좋아 할 수 없는갑다고 쉽게 생각했는데…. 상인대학에서 여러 교육을 받다보니 정서나 의식이 바뀌는 계기가 되더라고예.”

거창전통시장-왕자상회 폐백/사진 김구연 기자

세일프라자 전동현(59) 아재

“80년대는 호황이었지예. 근데 고마 유명브랜드나 홈쇼핑이 밀려드니까 맥을 못추게 됐다아입니꺼. 지금은 그때의 50%나 장사가 될랑가. 평일에는 25%도 안될끼라예. 손님도 50~70대가 주요 소비자층이라예. 젊은 손님은 아예 엄십니더. 젊은 층을 유입하기엔 전통시장이라는 게 너무 취약한 구조라예.”

전동현 아재는 총각때부터 옷장사를 하고 있다가 결혼 후 자기 점포를 갖고 시작했다. 물건은 대구나 서울에서 많이 해온다. 27년째인데 갈수록 장사하기가 힘들다고 했다.

“그래도 하고 있는 건 이놈의 장사는 정년이 없다는 겁니다. 가장 안정적이라는 공무원들도 정년퇴직하모는 무슨 일을 해야 할 지 다시 인생설계를 해야하지만 장사꾼은 건강하기만 하모는 100살까지해도 누가 머라 안한다아입니꺼.”

거창전통시장-세일프라자 남성복/사진 김구연 기자

럭키가방 이용석(70) 아재와 진경남 아지매

“가방장사는 30년이제. 그전 것까지 치면 40년이고. 처음에는 상호를 ‘시장’이라고 했는데 ‘럭키’로 바꾸었습니더. 내가 럭키를 좋아헌다예.”

시장 안 가방장사가 예전만 못 할 건데 어떻게 하냐는 안타까움과 함께 요즘은 어떤 종류가 팔리는 지를 물었다.

“요즘은 여권가방이 마이 팔린다예. 가방 품목도 마이 없어졌다아이가. 옛날에는 신발가방, 도시락가방, 어깨 여행가방 등 마이 있었는데 요개는 그런 기 없어졌습니더. 학교 급식을 하니 도시락은 싸다닐 필요가 엄꼬 신발주머니도 필요엄제. 여자들이 가방을 마이 사는데 요새는 유명한 것만 찾꼬 남자들은 가방을 마이 안 가져댕기고. 한번은 어떤 남자분이 왔는데 60년만에 처음으로 가방 산다쿠더라.”

이용석 아재는 장사는 전보다 덜하지만 70이 되어도 아직 일할 데가 있으니 틈틈이 여가생활하며 ‘즐거운 인생’이라 했다. 

거창전통시장-럭키가방/사진 김구연 기자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