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분 남짓 간단한 관절내시경으로 깔끔하게 해결

추벽은 태아 때 형성되는 무릎 속의 부드럽고 얇은 막으로 정상적인 경우, 태아 4~6개월쯤부터 퇴화하기 시작해 태어날 때는 없어진다. 그런데 한국인 3명 중 1명꼴로 추벽이 없어지지 않은 상태로 태어난다. 대부분의 경우에는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므로 추벽의 존재를 모르고 지나가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 추벽이 만성염증이나 외상 등의 영향을 받아 붓거나 두꺼워지면 무릎 관절을 자극해 연골을 닳게 하는 문제를 일으키는데 이게 바로 추벽증후군이다.

추벽증후군은 평소 걷는 평지에서는 특별한 증상이 없지만 무릎을 많이 구부렸다 펴는 운동을 하거나, 계단을 오르내릴 때, 등산·자전거 타기 등 과격한 운동을 했을 때, 오래 앉았다 일어날 때, 엎드려서 오랫동안 걸레질을 할 때 무릎의 통증을 호소하게 된다. 또한 무릎을 움직일 때마다 마찰로 인한 ‘딱딱’ 소리가 나기도 하며, 가끔 무릎이 펴지지 않다가 순간에 펴지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간혹 무릎 관절뿐만 아니라 대퇴 관절에도 충돌을 일으켜 통증을 유발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추벽증후군은 과격한 운동을 즐기는 젊은 층에게 많이 발생하고, 집안일 때문에 무릎을 구부렸다 펴는 동작이 많은 주부층에도 많이 생긴다. 또 당뇨병, 심부전 환자, 흡연자의 경우도 질병 자체가 체내 산소를 부족하게 만들어 이로 인해 추벽이 부어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대표적인 증세는 무릎 통증과 소음이다. 원래 리본처럼 얇고 부드럽던 추벽이 자극으로 빨랫줄처럼 딱딱해진다. 이렇게 딱딱해진 추벽이 무릎을 구부렸다 폈다 할 때 연골을 자극해서 통증이 생긴다. 또 움직일 때 소리가 나게 된다. 이외에도 무릎이 붓거나, 무릎이 단단해지거나, 무릎을 펼 때 결리는 등의 증상이 지속된다면 추벽증후군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심해지면 연골이 마모되면서 손상이 와서 연골연화증이 생길 수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추벽증후군의 문제점은 증상이 쉽게 발견되지 않아 조기발견이 어렵고 이로인해 진단이 잘 안 된다는 것이다. X레이, CT로는 진단이 어렵고 MRI로 확인이 가능하다. 하지만 가장 정확한 것은 관절경 검사이다. 무릎 관절부위에 3~4㎜정도의 작은 구멍을 뚫어서 관절내시경을 넣어 모니터를 통해 관절 안을 직접 보면서 진단한다.

일반적으로 추벽증후군이 의심될 때는 과격한 운동 및 활동량을 줄여주는 것만으로도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자전거 타기, 계단 오르내리기, 다리를 구부렸다 펴는 동작 등을 삼가야 한다. 가벼운 통증은 얼음주머니로 3~5분 정도 마사지해주면 가라앉는다. 통증이 지속될 때에는 진통소염제로 통증 및 염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약물치료와 운동 치료만으로도 증상이 좋아지지 않는다면 주사치료나 관절내시경 수술을 통해 추벽을 잘라내는 시술을 해야 한다.

추벽증후군 증상을 방치하면 추벽과 충돌하는 연골이 손상돼 조기 퇴행성 관절염이 생길 수 있다. 만약 무릎에서 ‘딱딱’거리는 소리와 함께 통증이 느껴지거나, 예기치 못한 부상을 당했을 때는 가까운 병원을 찾아 정확한 검사를 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관절경을 통한 추벽제거 시술시간은 10분 내외로 매우 간단하다. 환자는 모니터를 통해 시술과정을 보면서 의사의 설명을 들을 수 있다. 워낙 절개부위가 적어 눈에 잘 띄지 않으며, 그나마 1~2개월 정도 지나면 거의 흔적도 남지 않는다.

 

문현식 병원장 무릎 수술 모습.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