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 비단

진주중앙시장에 가면 가장 눈에 많이 띄는 가게가 비단, 한복을 다루는 주단가게이다. 시장 내 30여 곳이 밀집해 있고, 시장 2층에 올라가면 재단하고 바느질하는 한복상회가 빼곡이 줄을 이어 있다.

“아들 딸 혼사때 경남 서부 사람들이 꼭 오는 데가 진주중앙시장 비단 가게였지. 여기 와야 일을 치를 수 있으니까.”

진주 인근 지역에서 예순 넘은 어른들은 백이면 백, 다 하는 말씀이다.

옛날부터 진주하면 비단(실크), 비단하면 진주라 했다. 진주 비단은 그만큼 널리 알려져 있는 ‘명품’이다. 진주 비단은 국내 생산의 80%를 차지하고 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진주중앙유등시장에는 비단가게는 물론 삯바느질하는 가게가 많다. 시장 안 한복거리에 들어서면 알록달록한 ‘날개옷’이 소비자들을 한눈에 사로잡는다. 서울 광장시장과 함께 전국 비단 시장 중 최대, 최고의 시장이라 함이 틀리지 않을 듯하다.

중앙시장 명물 비단 / 사진 김구연부장

알려진 바에 따르면 진주지역은 삼한시대부터 견직물을 생산해왔으며, 근대에 들어서는 1920년대에 진주에 설립된 동양염직소가 견직공업의 출발이라 할 수 있다. 섬유산업의 호황과 진주 상평공단의 입주로 진주 비단은 전국적인 명성을 가지게 됐다. 지금의 진주 비단은 이탈리아 꼬모, 프랑스 리옹, 일본 니시진, 중국 항주·소주와 함께 세계 5대 실크명산지로 꼽힐 정도로 그 품질을 인정받고 있다.

“진주가 비단(실크)의 중심도시가 된 것은 근처 산청과 함양의 잠업 농가들의 노동력이 뒷받침됐다. 또한 진주 남강의 물로 염색하면 비단의 색깔이 고와질 뿐 아니라 변색이 되지 않아 비단(실크)생산지로 진주가 최적지의 입지조건이었다.”

진주중앙시장에서 주단가게를 운영하는 상인들의 한결같은 말이다. 자부심이 묻어난다.

이곳 진주는 실크산업혁신센터, 진주실크박람회 등을 통해 실크산업의 한 단계 도약을 시도하고 있다.

진주비빔밥

“진주에 오면 진주비빔밥을 먹어야죠. 진주에서 제일 전통 있는 음식이잖아요.”

진주를 찾은 관광객들은 대표음식으로 진주비빔밥을 꼽는다. 시장 한 바퀴 둘러보고 출출한 속을 부담 없이 달랠 수 있어 많은 사람들이 찾는 명물이다.

진주비빔밥은 전주비빔밥과 함께 비빔밥 계의 양대 산맥을 이룬다.
비빔밥은 맛과 영양이 뛰어나 조선시대 궁중에서 즐겨먹는 음식 중 하나였다고 하며 그중 진주비빔밥은 ‘눈으로 즐기고 입으로 즐기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태종 때에는 한양 정승들이 비빔밥을 먹으러 수시로 진주를 방문했다고 전해진다.

제일식당 육회비빔밥 / 사진 김구연부장

문헌에 따르면 고구려 중엽 ‘채합식’이란 말이 시초다. 삼국시대에는 진주지방에 ‘효채밥’이 유명했다고 전해지며, 후삼국시대에는 ‘채혼밥’이라 불렸다. 진주비빔밥을 널리 알리기 위해 진주시는 매년 10월 개천예술제때 서제 제향 후 ‘3000인분 진주비빔밥 나눔 행사’를 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너나 경계를 풀고 비벼놓은 밥에 숟갈을 얹는 것은 이 또한 흐뭇한 장관이다.

진주중앙시장에 오면 전통을 잇는 진주비빔밥을 맛있게 먹을 수 있다. 시장 안 제일식당, 시장 근처 천황식당이 대표적인 식당이다. 더러 ‘경상 맛과 호남 맛을 잘 섞은 맛’이라 하고 더러는 ‘입에 감치는 게 으뜸인 맛’이라고 감탄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