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여성인권대회]전쟁과 여성폭력 워크숍…"피해자 절반 우리지역 사람" 관심 촉구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중 40∼50%가 경남지역 분이다. 현재 위안부 문제는 우리나라에선 지지부진한 채 해결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경남세계여성인권대회를 계기로 경남도민이, 경남지역이 관심을 두고 다시 불씨를 지펴나갔으면 한다."

송도자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와 함께하는 통영거제시민모임 대표는 25일 열린 경남세계여성인권대회 '전쟁과 여성폭력' 주제별 워크숍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경남도민의 관심을 촉구했다.

그는 "국제기구와 세계 각국에서는 일본군 위안부 결의안을 채택해 힘을 보태고 있지만, 정작 피해당사국인 우리 정부는 무관심을 넘어 회피하고 있다"며 "지난 10월 국회 본회의도 아니고 여성위원회에서 공식 사과 등을 요구하는 결의안이 겨우 통과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그는 "그동안 여러 차례 국회에 결의안이 제출됐지만 모두 자동 폐기됐다"며 계속적인 관심을 당부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우리나라에서 처음 알려진 건 1990년 1월이다. 이화여대 윤정옥 교수가 한겨레신문에 '정신대 발자취를 찾아서'를 연재하면서 세상에 알려졌다. 이어 1991년 8월 고 김학순 할머니가 기자회견을 통해 처음 증언하면서 일본군 성노예 실상이 드러났다.

이후 1992년 1월 8일 미야자와 전 일본 총리 방한을 계기로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수요시위가 시작됐다. 지금도 매주 수요일 낮 12시 일본대사관 앞에서 17년 째 열리고 있다. 그럼에도, 우리 정부는 일본의 공식 사과나 배상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하지 않고 있다.

현재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주요 쟁점은 △강제연행 개념 차이 △개인배상청구권 소멸 여부 등이다.

송 대표는 이에 대해 "일본정부는 강제연행이 아니라 자발적이었다고 주장하지만, 국제기구 등에서는 본인의 의사에 반하여 연행되었고 강제통제로 본인의 의사에 따라 돌아올 수 없는 상황이었다면 이는 강제연행으로 규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 "일본정부는 1965년 한일기본조약 체결로 배상청구권은 무효라고 주장하지만, UN 등은 인도에 반하는 죄는 국제법상 시효가 없어 배상청구가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증언자로 나선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복득 할머니는 "일본 정부로부터 사죄를 받는 것이 소원이다. 밥이 안 넘어가도 억지로 먹고 있다"며 "내 살아생전 사죄받는 것이 소원이다"고 말해 참가자들이 눈시울을 붉혔다. 김 할머니는 18살에 끌려가 25살에 돌아와 현재 통영에 살고 있다.

미국, 네덜란드, 캐나다와 유럽의회 등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일본 정부에 공식 인정과 사과 등을 요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일본도 올해 6월 도쿄 기요세시의회와 이달 초 홋카이도 삿포로시의회 등이 결의안을 채택했다. 그러나 우리 국회는 아직도 결의안을 채택하지 않고 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