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통해 본 보이스 피싱 인출책의 하루

보이스 피싱(전화금융사기) 조직은 크게 중국이나 대만에 본부를 두고 피해자에게 전화를 거는 '콜센터'와 피해자의 계좌에서 돈을 빼내고 이를 운반하는 '국내 조직'으로 나뉜다. 국내 조직은 다시 인출총책을 중심으로 계좌모집책, 인출팀 관리책, 인출책, 인출금 운반책, 환전책 등으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 주로 경찰에게 붙잡히는 사람은 실제 은행에 가서 돈을 빼내는 인출책이다. <관련기사 10면>

지금까지 보이스 피싱 피해 사례는 많이 나왔지만 범죄 조직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게 없다. 창원 중부경찰서 지능범죄수사팀 양영진 팀장이 최근 경남대 행정대학원 경찰학과 석사학위 논문으로 낸 <보이스 피싱 범죄의 근절 방안에 관한 연구>를 통해 보이스 피싱 인출책의 하루를 재구성했다.

◇대만인 청(程) 모(38) 씨 = 한국에 오기 전까지 청 씨는 '백수'였다. 사업에 실패하고 빚까지 진 청 씨는 자포자기하는 심정으로 하루를 살았다. 그러다 우연히 광고지를 보는데 눈에 들어오는 구절이 있었다. "한국에 가서 관광도 하고 돈도 번다"는 말에 혹한 그는 지난해 11월 한 달 비자를 만들어 한국땅을 밟았다.

2∼3 차례 운반책 접선…협박·유혹에 일 계속

알고 보니 그가 하는 일은 전화금융사기 인출책이었다. 청 씨는 한 달씩 4번을 일했다. 하다 보니 주위에서 경찰에 잡히는 사람도 한둘씩 생겼다. 불안해진 청 씨는 인출총책에게 이제 그만하겠다고 했다. 그런데 총책은 그동안 비행기 표 값이며 체류비 등 투자비를 회수하겠다고 협박했다. 그리고 할 일이 없던 청 씨에게 하루 60만~70만 원의 수입은 뿌리칠 수 없는 유혹이기도 했다. 청 씨는 결국 일을 그만두지 못했다.

◇중국인 린(林) 모(25) 씨 = 지난 2006년 린 씨는 유학생 비자로 한국에 왔다. 물론 유학보다는 돈을 버는 게 목적이었다. 미등록 이주노동자로 한 달에 100만 원 정도를 벌던 린 씨에게 어느 날 유혹의 손길이 뻗어왔다. 한국에서 같이 일하던 친구에게서 돈을 훨씬 많이 벌 수 있는 일이 있다는 연락이 왔다. 일을 안 해도 하루에 20만~30만 원 정도는 벌 수 있다고 했다.

어느 날 그 친구는 린 씨를 불러내 술을 샀다. 그날 친구는 성 접대까지 하며 린 씨도 자신과 같이 많은 돈을 벌 수 있다고 했다. 물론 린 씨는 덥석 친구의 제안을 받아들였다. 인출총책은 린 씨에게 같이 일하는 사람들에 대해서는 서로 알려고도 하지 말라는 경고를 받았다. 그리고 중국에 있는 가족의 인적 사항을 물었다. 만일 찾은 돈을 들고 도망가면 가족이 무사하지 못할 것이란 협박도 받았다.

◇인출책의 하루 = 대만인 청 씨나 중국인 린 씨와 같은 인출책의 하루는 다음과 같다.

한 조 3∼5명, 하루 20개 정도 통장서 돈 빼내

보통 인출책 3~5명이 한 조다. 인출책은 매일 장소를 바꿔가며 은행에서 현금을 찾는다. 인출책은 매일 아침 오전 7시에서 9시 사이에 그날 범행에 쓸 카드로 1만 원에서 2만 원씩 찾은 후 인출총책이나 중국에 있는 콜센터에 보고한다. 대포 통장의 주인이 혹시 비밀번호를 바꾸지 않았는지 확인하는 거다.

인출팀은 보통 하루에 20개 정도의 통장에서 돈을 빼낸다. 이들이 돈을 빼는 데 걸린 시간은 평균 6.2분. 빠르면 1분 안에, 늦어도 9분 안에는 돈을 찾는다. 한 명이 하루에 빼내는 돈은 평균 1000만 원 정도다. 이들은 하루 2~3번 인출금운반책을 만나 돈을 건넨다. 돈을 받은 운반책은 다시 환전책에 돈을 주며 이 돈은 경기도 안산 등에 있는 소규모 중국인 슈퍼에서 환전되어 중국이나 대만으로 보내진다. 이 과정에서 인출책이 받은 대가는 대만인은 60만~70만 원, 중국인은 20만~30만 원이다.

2007년 3월에서 올해 3월까지 창원중부서에서 붙잡은 인출책과 인출금운반책 등은 모두 21명이다. 이중 대만인이 6명, 중국인은 15명이다. 30대가 12명으로 가장 많았고 20대가 6명, 40대가 2명, 50대가 1명이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