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시가 지정해 놓은 공원의 면적은 자그마치 240여만 평이다. 이 면적은 마산 인구 1인당 약 5평 반으로 상당한 규모다. 웬만한 아파트 1인당 점유면적보다 넓은 면적의 공원을 마산 시민 한 사람도 빠짐없이 가지고 있는 셈이니 적지 않은 면적임에 틀림없다.

이웃 일본의 도쿄와 오사카의 공원 면적이 1인당 고작 1평 내외이고 세계적인 도시 파리가 1인당 3평 반, 몬트리올이 4평, 뉴욕이 5평 반인 것을 생각해보면 1인당 공원 면적이 9평이나 되는 영국 런던보다는 작지만 어쨌든 통계상으로 마산은 공원이 많은 도시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통계가 이런데도 불구하고 현실은 그렇지 않다. 마산 시민들은 손쉽게 이용할만한 공원 하나 제대로 없다. 아니 가볼 만한 공원은 하나도 없다. 국내외를 막론하고 이토록 철저하게 도심공원이 없는 도시는 찾아보기 어렵다.

한 사람이 무려 5평 반이나 되는 공원을 통계상으로 가지고 있는데도 말이다. 마산시가 통계상 만들어 놓은 공원은 공원부지로 지정해 놓은 면적이지 그것들이 실제 공원은 아니기 때문이다. 거기다가 공원으로 지정해 놓은 곳도 도심에 자리하여 언제든지 사용할 만한 곳이 아니라 별도로 시간을 내어 차편으로 나가야만 접할 수 있는 인근 계곡과 산이다.

도시 생활에 필요한 공원이란 생활과 긴밀히 연계될 때 그 사용가치가 높다. 통계상의 공원이나 멀쩡하게 이미 존재하고 있는 산과 계곡을 공원이라고 하여 그곳만 개발하는 것은 잘못된 공원정책이다. 영화 <러브스토리>에서 눈싸움 장면으로 유명한 뉴욕의 센트럴파크와 같은 공원이 유익하고 좋은 공원이라는 말이다. 센트럴파크는 뉴욕 번화가 한복판에 있는 도심공원이다.

마산 역전에는 사시사철 매일같이 나이든 노인들이 이리저리 내몰리며 피곤한 시간을 보내고 있다. 만약 부근에 갈만한 도심공원이 있다면 왜 이 분들이 이 곳에 있겠는가. 생활 속에서 이용할 수 있는 공원계획이 시급하다.

직장인들이 점심 저녁으로 사이사이 이용하기도 하고 가족이나 연인과 도란도란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도심공원 말이다.

물론 근년에 택지로 조성한 주거단지에는 소공원이 간혹 있긴 하다. 그러나 그것도 어린이 놀이기구 몇 개, 나무 몇 그루 심어 놓고는 끝이다. 아무도 돌보지 않는다.

택지로 사용하고 난 뒤 자투리 땅을 공원부지로 사용하기 일쑤라 입지도 좋지 않다. 그러니 얼마 되지 않아서 이 곳들이 오히려 도시의 흉물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마산시가 현재 기획 중인 ‘마산비전 2020’에 의하면 중앙공원·산호공원·추산공원 개발을 비롯하여 돝섬유원지 개발, 구산해양관광단지 개발, 팔룡유원지 개발 등 공원개발 계획이 다양하게 세워지고 있다. 그렇지만 어디 하나 도심공원은 없다. 엄청난 시설비를 요하거나 이미 존재하고 있는 산을 개발하는 것들뿐이다. 시민들이 손쉽게 접근 가능한 그런 공원은 아니다.

그 동안 마산시는 서항매립이다, 구항매립이다 하면서 20여 만평의 해면을 매립하고서도 그럴듯한 도심공원 하나, 공공주차장 하나 마련하지 못했다. 오히려 시민들과 바다를 단절시켰고 워터프런트 계획은커녕 대부분의 해안을 자동차가 씽씽 다니는 길과 수입 원목들이 차지해 버렸다. 시행정의 단견은 실로 발을 찍을 정도다.

지금이라도 우리 마산을 ‘살고 싶은 도시’로 만들기 위해서는 공원개발 방향도 그 궤도를 수정해야 한다. 팔룡산을 개발하여 꼭대기에 탑을 세우고, 돝섬까지 다리 놓는 따위를 계획하기에 앞서 도심 속에서, 생활 속에서, 쉬기도 하고 걷기도 할 수 있는 도심공원부터 만드는 것이 급선무다.

지금은 키워야겠다는 도시의 양적 정책에서 가꾸고 만들어 가는 질적 정책으로 바꿔야 한다. 시민 1인당 5평 반의 공원이라는 허구를 지워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