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월을 가장 뜨겁게 달구었던 화제는 ‘주남저수지 준설’을 둘러싼 시기 논쟁이었다. 이 논쟁을 통해 주남저수지 철새보호문제가 국제적 이슈로 부각됐으며 날로 열악해져가는 주남저수지 인근의 환경상황에 대한 대중적 관심을 환기시켜냈다.

그러나 10월 말까지 물막이 공사를 하고 본격적인 준설은 내년으로 미뤄지면서 적절한 타협점을 찾아내기는 했지만 그 과정에서 농민들의 입장과 의견이 배제돼 철새보호와 주민 생존의 대립이라는 불씨는 여전히 남겨두고 있다.

△농민 반발 =

그러나 인근 농민들의 반발은 여전히 불씨로 남아있다. 저수지에 퇴적물이 쌓이면서 당초 농업용수 확보와 홍수조절을 위해 건설된 본래 목적을 수행하는데 막대한 지장이 있는데도 준설을 제때 하지 못한다면 영농에 큰 차질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여기에다 농작물 보호와 생존을 위한 농경지 복토, 과수원 그늘방지용 벌목, 농작물 보호를 위한 철새 쫓기 등 생존을 위한 행위마저도 행정당국의 처벌로 농민들이 범법자로 전락하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여기에다 ‘철새보호 행정만 있고 농민보호 행정은 없다’는 불만까지 가세하고 있어 앞으로 매년 준설을 둘러싼 해묵은 갈등이 재연될 소지를 남겨두고 있다.

△공존 대책 찾아야 =

한때 동양 최대의 철새도래지였던 주남저수지는 지난 93년까지만 해도 매년 14만여마리의 철새들이 날아들었으나 지난 96년 8만8천마리, 올해는 4~5만마리로 감소, 개체수가 급감하고 있는 추세를 보여왔다. 그러나 올해는 지난해에 비해 7000여마리가 더 찾아왔다.

환경단체는 인근 아파트 건립, 저수지 준설 , 갈대섬 방화 등 철새 서식환경 악화로 철새 도래가 줄어들고 있지만 이제라도 철새 보호와 주민 생존을 위한 대책을 찾아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는 피해 주민에 대한 직접 보상, 생태관광지 조성, 철새를 주제로 한 각종 이벤트 유치 등의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문제는 ‘환경단체와 주민간의 갈등’ 이라는 입장에서 접근해서는 해결책을 찾을 수 없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공존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는데 주민들이 주요한 축으로 참가하고 현실적인 대안을 찾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