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길 속 포레의 '레퀴엠'죽은 자에게 보내는 위로
자칭 구원자 연쇄 방화범과 공포 이겨낸 소방관의 사투
위기의 순간 평온한 클래식, 죽음 앞 태도 중요성 강조

죽음이란 과연 모든 것을 지워버리는 소멸의 순간일까 아니면 평온한 안식의 시작일까? 역설적이게도 삶은 죽음과 맞닿아 있고 그 이후를 알 수 없기에 두려운 것이다. 화마(火魔)를 소재로 한 영화들을 기억해 본다. 140층에 이르는 고층건물의 불길과 싸우는 소방관들의 사투를 다룬 <타워링>이 일단 먼저 떠오른다. 그리고 이를 리메이크한 듯 닮은 한국영화 <타워>도. 하지만 가장 인상에 남은 영화는 1991년 작 <분노의 역류(Backdraft)>다. 세 영화 모두 소방관들의 희생을 감동적으로 보여준 작품들이며 이 기회를 빌려 지금도 어디선가 뜨거운 불길과 싸우고 있을 그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증오

'희수'(차승원)는 방화범으로 12년을 복역 후 가석방된다. 불을 다루는데 있어 마스터인 그는 교도소 문을 나서지만 이미 그가 만들어 놓은 불의 함정에 교도관이 목숨을 잃는다. 그리고 몇 개월 후, 시내의 한 약국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화재가 발생하고 소방관 '인수'와 '상우'(최민수)는 그 불길과 맞선다. 위험한 순간, 인수는 상우를 살리고 대신 죽음을 맞고 이에 죄책감에 휩싸이는 '상우'. 한편 정신병동에서 아이들을 돌보며 새로운 삶을 시작한 듯 보이는 '희수'는 사실 일련의 방화를 계획하고 실행 중이다. 그에게 불이란 죄인들에게 내리는 형벌이며 자신은 그 집행자이다. 어릴 적 희수의 누나는 아버지의 학대에 견디다 못해 그를 불로 벌하였고 그 죄책감 때문인지 누나 역시 화마에 몸을 내어 버리는 장면을 목격한 희수는 불에 반응하는 살인마가 되어 버린 것이다. 어릴 적 제발 구해 달라던 자신의 절규에 귀 기울여 주는 이 없었기에 이제 스스로 학대 받는 아이들의 구원자가 되기로 한 희수. 아이를 학대하는 이들에 대한 증오심, 이에 그는 자신이 돌보는 아이들 중 학대를 받는 아이들의 부모들을 불로써 차례로 심판해 나간다. 학대의 가해자들에 대한 처벌이 아이들에게 최고의 선물이라 여기며.

한편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화재를 미심쩍어 하던 조사관 '민성'은 계속해서 수사망을 좁혀 가고 '방해하지 말라'는 희수의 협박은 상우의 새로운 파트너 '현태'(유지태)의 죽음으로 이어지고 만다. 계속되는 동료의 죽음으로 두려움에 떨던 현태, 하지만 자신의 사명감에 끝까지 충실하려 애쓰던 그의 죽음은 대원들 모두를 비통하게 하지만 잇달아 파트너를 잃은 상우의 충격은 말로 할 수 없다. 이제 희수를 돌보던 정신과 의사의 제보로 희수의 범죄가 밝혀지고 그의 거처를 습격하지만 또다시 불에 희생되는 경찰들, 하지만 그보다 더 위태로운 것은 아이들이 머무는 병원에 곧 화마가 덮친다는 것이다. 소식을 듣고 출발한 소방차는 크리스마스로 인해 꽉 막혀 버린 도로 가운데 발이 묶이고 이제 그들은 자동차 사이를 헤치며 위험에 처한 이들을 리베라(구원)하기 위하여 달린다. 비번이라 아이들과 함께하던 '한무'도 '아빠는 소방관이잖아'라는 말을 아이들에게 남긴 채 구원의 대열에 합류하고 이제 그들은 현실의 영웅이다. 목숨을 걸고 화마와 싸우는 그들, 하지만 희수가 만들어 놓은 불의 함정이 만만치 않기에 여기저기 희생자가 나오지만 그들은 포기하지 않는다. 이러한 아수라장에서 마주한 희수와 상우, 그 둘은 이제 생사를 건 사투를 벌이고 마지막 순간 누나를 잃은 기억에 휩싸여 버린 희수는 결국 스스로를 불에다 맡겨 버리고 만다.

▲ 영화 <리베라 메>에 등장하는 소방관 상우(최민수 분)./스틸컷

◇레퀴엠

주유소에 도착한 소방차, 모든 것이 평온해 보인다. 화재의 기미가 보이지 않기에 약간의 점검 후 돌아가려던 찰나 주유소는 불길에 휩싸인다. 뭔가 심상치 않았는지 구경꾼들 사이로 달려간 상우는 희수를 목격한다. 그들의 첫 대면인 것이다. 불의 무시무시함을 실감나는 영상으로 표현한 이 장면에서 간절하게 흐르는 음악이 있으니 바로 프랑스의 작곡가 '포레(Faure)'의 '레퀴엠(Requiem)' 중 '리베라 메(Libera me)'이다. 경찰들이 방화범 희수의 거처를 습격하기 전과 후 그가 올려 놓은 LP에서도 울려 나온다.

'주여. 하늘과 땅이 진동하는 무서운 그날에 / 영원한 죽음에서 나를 구원해 주소서.

불로써 세상을 심판하러 오실 그때에. / 나는 두려움에 떨고 전율하며

다가올 진노의 심판 날을 기다리나이다.'

'레퀴엠'은 가톨릭에서 죽은 자를 위해 행해지는 미사다. 라틴어로 안식을 뜻하며 '리베라 메'는 '나를 구원하소서'라는 뜻이다. 이렇듯 레퀴엠이란 라틴어 가사로 일정한 순서에 의해 치러지는 미사곡이며 작곡가 '모차르트'와 '베르디'의 레퀴엠과 함께 '포레'의 레퀴엠이 유명하다. 죽은 자를 위한 '레퀴엠'이라 하여 평안과 위로만이 있는 것은 아니다. 순서에 포함되어 있는 '진노의 날(Dies Irae)'은 죽음과 심판에 대한 무시무시한 음악적 경고로 '모차르트'가 작곡한 '레퀴엠'의 '진노의 날'도 서슬 같지만 '베르디'가 음악적으로 표현한 '진노의 날'은 그야말로 공포다. 사방에서 불이 쏟아지는 듯 내려 갈기는 나팔 소리와 합창단의 울부짖음은 죄인의 발을 묶어버리는 준엄한 심판 같아 자그마한 죄에라도 당장 무릎을 꿇어 용서를 구해야 할 듯 엄중하게 내려온다. 하지만 '포레'의 '레퀴엠'은 다르다. '죽음의 자장가'라는 별명이 붙은 이 평화로운 곡이 어떻게 탄생하게 되었는지는 작곡가가 생전에 했던 이야기에서 알 수 있다. '내가 죽음에 대해 느낀 것은 서글픈 쓰러짐이 아니라 행복한 구원이며, 영원한 행복에의 도달인 것이다.' 바로 이러한 내세관을 지닌 그였기에 이토록 따뜻한 위로와 평온의 곡을 만들어낸 것이다. 이에 작곡가는 심판의 불길인 '진노의 날'을 축소하여 '리베라 메'에 살짝 얹어 놓기만 하여 한 곡처럼 취급할 뿐만 아니라 선율 또한 듣는 사람으로 하여금 두려움에 떨게 하는 것이 아닌 평화로운 흐름으로 묘사해 전체적인 흐름이 평안하게 흘러가도록 구성한다. 또한 기존의 텍스트에는 없는 '천국에서(In Paradisum)'를 가미하여 곡을 끝맺도록 하는데 선율이 아름다워 독자적으로도 자주 연주된다. 오르간과 하프로 천국의 모습을 보여주곤 이어지는 맑은 목소리로 그곳으로 인도하는 천사의 노래를 들려 주는 것이다. 하여 이 곡은 죽은 자들의 발 밑에 놓여있는 꽃이요, 살아 있는 자들에겐 따스한 위로이다. 자신이 구원자라 믿는 '희수'가 '모차르트'나 '베르디'가 아닌 '포레'의 레퀴엠을 선택한 것도 심판의 날이 악인들에게는 공포의 날이겠지만 아이들에게는 악마로부터 구원되는 축복의 날이기 때문일 것이다.

◇구원

아동학대라는 묵직한 사회문제를 제기하지만 결국 이 영화는 구원과 희생에 관한 영화다. 구원에는 희생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니 속상하다. '나를 구원해'가 아니라 '나만 구원해'를 외치며 더한 나락에서 허우적대는 이들을 돌아보지 않는 시대이니 누구에게 손을 내밀어야 할지조차 혼란스럽다. 하지만 자신의 나약함을 핑계 삼기 이전에 먼저 손을 내밀어 보려 한다. 그러면 볼 수 있지 않을까? 늪에 빨려 들어가듯, 급류에 휩쓸리듯 세상과 이별하려는 이들을 붙잡아 결코 놓지 않으려는 핏줄 두터운 수많은 구원의 손길들을. 나 혼자만의 외로운 사투가 아닌 것을.

영화 <분노의 역류>에서의 마지막 싸움, 숨소리마저 태워 버릴 듯 거센 화마와 싸워야 하지만 쉽게 용기가 나지 않는다. 악마 같은 거대한 불길이 지옥의 소리를 내며 거칠게 위협한다. 하지만 잠시 멈칫하게 할 뿐 그들을 막을 순 없다. 그들은 혼자가 아니기 때문이다.

'네가 가면, 나도 간다. (You go, We go)'

※ 본 기사는 경상남도 지역신문발전지원사업 보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