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조직이 재벌기업 삼성의 하수인 노릇을 하였다는 사실이 염호석 노동자의 자살사건에서 여과 없이 드러났다. 경찰이 스스로 만든 인권침해 진상조사위원회에서도 사건의 재발방지대책 마련과 더불어 사과를 권고하였다. 발표가 있은 지 일주일이 넘어가지만, 경찰 수뇌부에선 미동도 하지 않고 있어 사회적 비판은 더욱 거세어지고 있다.

경찰이라는 공권력이 일개 민간기업의 편을 드는 것도 모자라 오히려 피해자들을 감시하는 데 열을 올렸다면 공권력의 중립성이라는 원칙은 완벽하게 파괴되었다고 보인다. 이해관계 당사자들의 분쟁과 갈등을 조정하는 게 아니라 한쪽 편만 일방적으로 지지하면서 사건을 조작까지 하려고 하였다면 경찰이라는 조직의 존재근거마저 의문시된다.

현재 경찰 수뇌부는 검찰로부터 수사권 독립이라는 해방 이후부터의 숙원 과제가 해결될 조짐이 있다고 희망할 수는 있다. 그러나 자신들이 범한 실수와 잘못에 대해선 지나치게 관대하면서 자신들 조직의 이해관계 챙기기에만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면서 국민을 설득하기엔 어려움이 있다. 염호석 사건의 경우 검찰이 기소권이나 수사권을 적극적으로 행사하여 사건의 전모를 더욱 명백하게 밝힌다면 경찰이 원하는 수사권 독립의 근거나 주장의 설득력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전임 경찰청장까지 이 사건에 관여된 게 아니냐는 의혹도 존재하는 마당에 사건을 파헤칠수록 경찰의 권위가 추락할 개연성도 존재한다. 사정이 이렇다고 손바닥으로 하늘을 감추듯이 시간만 끌면서 사건이 잊히길 기다리는 태도는 염호석 사건의 의미와 영향력을 여전히 이해하지 못한 아둔한 행위일 뿐이다.

염호석 사건은 피해 당사자인 노동자들뿐만 아니라 노조라는 조직이 배경으로 존재한다. 게다가 사건을 일으킨 인물들이 현직 경찰이라는 신분을 계속 유지하고 있다는 사실로 인해 이미 정치적 사건의 성격을 띠고 있다. 정권의 정치적 판단에 따라 사건을 얼마든지 이용할 수 있다. 이런 구조를 이해한다면 경찰조직 스스로 사건을 철저히 규명하여 피해자에겐 최대한의 사과와 재발방지를 위한 대책을 적극적으로 제시하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