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색이 다르다는 이유로 행해지는 차별에 대한 사회적 울림이 필요하다. 경남이주민센터는 지난 10일 이주민센터 비하 등을 일삼은 난민대책국민행동 회원 등 8명을 창원지검에 고소했다. 센터는 이들이 지난 10여 년간 악의적인 인터넷 댓글을 달고 전화를 걸어 협박과 욕설을 해왔다고 했다. 비단 난민대책 뿐 아니라 인터넷이나 흔히 내뱉는 단어에서도 이 같은 비하는 이어지고 있다. 흑인을 칭하는 흑형, 파키스탄 출신 외국인노동자를 바퀴벌레에 비유한 파퀴벌레, 외국인노동자를 줄인 외노자 등은 모두 인종차별적 표현이다. 인종차별은 사소한 표현부터 시작되지만 심화하면 물리적 충돌까지 불러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더이상 한국사회도 예외가 아니다. 10여 년간 국내 체류 외국인 수는 늘어 지난해 기준 237만 명으로 추산된다. 출신국, 피부색 등이 다른 이주민 이웃이 늘어나면서 인종차별이나 혐오 행태도 증가하는 것이다. 지난해 봄 예멘인 500여 명이 제주도에 입도한 사건 이후 외국인을 겨냥한 차별과 편견이 더 짙어졌다는 분석도 있다.

특히 이주민이 늘어나면서 한국인이 피해를 본다는 잘못된 인식이 문제다. 대다수 이주노동자들은 한국사회에서 가장 낮은 자리에서 일한다. 한국인이 기피하는 업종에서 일하며 사회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이주민을 반대하는 이들은 그들 때문에 일자리가 줄어든다고 한다.

박종완.jpg

결국 사회의 양극화 등 구조적 차별을 해소하지 않고 인종차별을 없애는 것은 어려울 것이다. 작게는 이주민에 대한 인식 개선부터 시작해 차별금지법과 인종차별금지법 제정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